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전송하는지 생각해 본 친구들 있나요?”박 교수는 사진 전송과 동영상 통화는 수학 덕분에 가능해졌다고 설명을 이어갔다.“휴대전화는 화면을 수백만 조각으로 나눈 뒤, 각 조각에 해당하는 밝기와 색깔 정보를 0과 1로 이루어진 2진수에 담아 전기 신호로 보내요. 진법이란 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 ...
- 크리스마스에 딱 맞는 과학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오백 원!와~. 텁텁하던 목이 트이며 좋은 향기가 나요. 왜 그렇죠? 저기 나무처럼 생긴 것 덕분인가요?겨울에는 건조해지는데 이걸 보완해 주는 자연 가습기란다. 전기 없이도 습기를 공기 중에 내뿜어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주지.우린 겨울에도 달린다!산타 할아버지. 너무 신나요. 우리 함께 ... ...
- 쌍봉낙타, 사막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있지요. 혹이 하나뿐인 단봉낙타에 비해 몸 크기가 작고 걷는 속도도 느리지만, 힘이 센 덕분에 무거운 짐도 잘 옮긴답니다. 커다란 혹을 짊어지고 다니면 무겁지 않느냐고요? 후훗, 이 혹이 없으면 우리는 죽을지도 몰라요. 우리 몸은 사막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알맞게 발달했거든요.앗, 사막에 ... ...
- 아빠! 우리 딱킷 하러 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과학마술짱 신재미! 괴도꼬마지! 과학을 잘하는 덕분에 마술도 부쩍 늘었단다. 그런데 마술만큼 신기한 과학교구가 있다는 소문을 들었어.바로 딱킷이야. 딱킷만 있으면 빛감지센서와 라디오, 초인종, 거짓말탐지기까지 만들수 있대. 앗, 그런데 블록들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연결해야 할지 모르겠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수상한 언어학자 ‘구거시가네 조라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해답은 보물지도가 알려 줄 거라고. 바로 이거.”놀이공원이 보물“썰렁홈즈~, 자네 덕분에 놀이공원을 잘 만들 수 있었어.”조라스 박사는 보물지도가 알려준 것처럼 섬을 놀이공원으로 만들었다. 기상천외한 섬의 모습을 보러 오는 사람들이 줄을 섰다. 하지만 썰렁홈즈가 발견한 보물이 없어, ... ...
- 반짝반짝 통통! 빛나는 탱탱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셋 다 힘을 주지 않고 그냥 떨어뜨리기만 했는데 왜 박사님이 1등을 한 거죠? 그건 큰 키 덕분이야. 높은 곳에서 탱탱볼을 떨어뜨리면 낮은 곳에서 떨어뜨린 탱탱볼 보다 더 높이 튕기잖아. 높은 곳에 있는 탱탱볼이 더 큰 위치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이죠? 맞아! 나은이 정말 똑똑한 걸? 그런데 솔직히 ... ...
- 식물보호 운동가 '디도르면 이플따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박사는 무사히 연구를 마칠 수 있을까? 이플따네의 유별난 식물사랑“감사합니다. 덕분에 한국 단풍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를 마치고 떠나는 이플따네 박사를 배웅하러 썰렁홈즈가 공항으로 나갔다. 감사의 인사를 하고 떠나려는 순간. 이게 어찌된 일? 이플따네 ... ...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집에서도 산이나 바다 로 놀러간 기분을 느낄 수 있거든요. 이게 다 미래 정보통신 기술 덕분이래요 손목시계 모양을 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화상통화를 할 수 있어요. 파르테논 신전을 보러 그리스에 간 이탈리아인 친구 발로똥차와 이렇게 화상통화도 할 수 ... ...
- 가을 밭에서 만난 못난이 삼 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8호
- 일을 하는지 모르는구나? 사람들이 과일과 채소를 풍성하게 얻을 수 있는 건 다 내 덕분이라고. 나는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성분을 내 놓지. 내가 땅 속으로 다니며 낸 구멍으로는 공기와 물이 드나들 수 있어 . 대단하지 않니? 나는 최고의 농기구인 셈이지. 앗, 저기 ... ...
- 피부랑 꼭 닮은 센서가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있답니다.연구팀은 사람 피부에 나 있는 빽빽한 털인 섬모에 주목했어요. 섬모가 나 있는 덕분에 귓속에서 소리를 감지하고 콧속에서 아주 작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거든요. 그래서 기판에 고분자 액체를 흘려 넣는 방법으로 깨알보다도 훨씬 작은 나노크기(10억분의 1미터)의 섬모를 빽빽하게 ... ...
이전2182192202212222232242252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