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살아있는 동물처럼 ‘고통’을 느끼는 센서를 7월 개발했다. 연구팀과 문제일
뇌
인지과학전공 교수,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느끼는 센서를 만들었다. 먼저 산화아연을 매우 작고 긴 구조물인 나노 와이어로 만들었다. 이 소재는 압력을 느끼면 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희망 잃은 삶 구할 한줄기 빛 같은 과학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5
주장이다. 험프리 교수는 “비참한 단기 해결책을 선택하는 것을 막지 못하는 취약한 두
뇌
를 갖도록 진화한 이유를 찾으면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시작했다. 다발성 경화증 환자가 많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다발성 경화증이란
뇌
와 척수의 축삭을 둘러싸는 수초가 손상되는 병이다. 아시아인이나 흑인은 잘 걸리지 않는데, 유럽계 백인에게 빈발한다. 주로 20세부터 40세 사이에 발병하는데, 다양한 신경 증상 혹은 정신 증상이 생긴다. 그래서 ...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있다. 조 책임연구원은 “향후 인간을 대상으로 한
뇌
와 컴퓨터 간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뇌
질환 치료 기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 ...
손바닥보다 작은 원숭이 두개골이 밝혀준 두
뇌
진화 비밀
연합뉴스
l
2019.08.22
것이다. 이와함께 시신경 연결부위의 크기로 볼 때 주행성인 것으로 추정됐다. 또
뇌
피질 표면에 있는 주름에서 접혀들어간 고랑이 적어도 7쌍에 달했다. 이는 현대 유인원에 비해서는 단순한 것이지만 고대 영장류치고는 놀라울 정도로 복잡한 구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공동저자인 ... ...
'조국 딸'논문 "단일염기다형성과
뇌
질환 관련성 연구"…"기여도·이해수준 파악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찾아냈다"며 "이 유전자에 점돌연변이가 있는 동물모델을 만들어 실제로 허혈성 저산소
뇌
병증이 발생하는지 확인했다면 더 좋은 연구였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점돌연변이가 병을 직접적으로 유발했을지 확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논문에 대한 기여도를 둘러싼 문제에 대해 과학계 한 ... ...
고통 느끼는 로봇 나오나…'인공피부'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동시에 느낀다. 뾰족하거나 뜨거운 물체에 닿으면 고통도 느낀다. 연구팀은 문제일
뇌
인지과학전공 교수,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와 함께 고통 등 감각적인 자극을 감지하고 관련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공피부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 먼저 산화아연을 재료로 매우 작고 긴 ... ...
코 골다 숨 멈추는 수면무호흡증,
뇌
조직 손상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인해 간헐적 저산소증, 수면분절 등이 일어나
뇌
가 스트레스를 받고 결국
뇌
세포 사이의 구조적 연결성에 문제가 생김을 밝혀냈다"며 "
뇌
기능을 떨어뜨리는 위험인자인 만큼, 수면무호흡증은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를 골거나 수면무호흡증 증상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 ...
간질 유발 원인 세포막 단백질 새 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연구원에서 구조와 기능을 통합한 시스템적 연구를 지원해서 나온 성과”라며 앞으로
뇌
의 생리학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세포막 단백질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지난 13일자에 발표됐다. ... ...
임플란트 시신경에 심어 빛 보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피질에서는 실제 볼 때 활성화되는 정도의 31.2%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뇌
속 시각 피질의 특성을 파악해 임상시험에도 나설 예정이다. 게지 교수는 “이 임플란트에 최대 60개의 전극을 넣을 수 있는 현재 전극 기술로는 시력을 완전히 회복할 수 는 없다”면서도 “제한된 시각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