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 생성 신경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이 결과 연구팀은 자극에 반응하는 ‘흥분성 뉴런’과 주체적 사고에 필요한 ‘
억제
성 뉴런’, 이 두 종류의 뉴런이 뒤섞여 만드는 ‘중첩구조’라는 뇌신경구조가 뇌파의 생성과 변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뇌파 변조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 중, 가장 큰 ... ...
알레르기성 비염에는 후추가 좋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피페린 성분이 비염을 일으키는 항원이 작용해 몸속에서 히스타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됐다. 박동준 식품연 원장은 “널리 알려져 있는 향신료인 후추가 알레르기 비염에 대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며 “후추 추출물을 이용해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설명했다. 우리 몸을 지키는 다양한 면역세포들 중 조절 T세포는 과민한 면역 반응을
억제
해 면역 균형을 유지한다. 다발성 경화증(중추신경계 질환)이나 류마티스염 등 자가면역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조절 T세포의 수가 줄거나 기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염증 환경에선 ... ...
유전자 복구 시스템 차단해 암세포 재발률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사용하는 효소(PARP)의 작용을 막는 약물도 개발돼 있다. 어니스트 연구원은“ PARP
억제
제처럼 스스로의 유전적 손상을 치유하는 암세포 내 수리 시스템을 방해하는 약물을 만들어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며 “환자의 암 유전자에서 유전적 혼란을 더 빠르게 발생시키면 치료 효과와 함께 ... ...
줄기세포로 파킨슨병 치료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이 방법도 단점은 있는데, 타인의 신경세포를 환자 머리에 넣기 때문에 장기간 면역
억제
제를 먹어야 한다. 연구진도 이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세포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에서 발생하는 일부 거부반응은 완전히 피하기 어려워 경과를 보고 있다. 연구진은 부작용 여부를 면밀히 살펴 6개월 ... ...
유전자 변이 막고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8
“앞으로 이어질 후속 연구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암세포 사멸, 종양혈관 형성
억제
효과를 높여줄 신약개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분야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 10월 13일자에 소개되기도 했다 ... ...
고등과학원·카오스재단 ‘2018 노벨상 해설 강연’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돌아갔다. 현재는 ‘이필리무밥’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등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
제가 상용화 돼 의료 현장에 쓰이고 있다.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를 이용해 매우 작고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라식 수술 등을 가능케 한 아서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소장을 맡은 데이비드 헤이먼은 보고서에서 도시화로 인구가 집중돼 전염병을
억제
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변종 박테리아가 공통적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된 점도 우려할 사항으로 거론했다. 과학자들이 새로운 항생제를 개발하지 않으면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로 사망하는 ... ...
치료용 유전물질 세포에서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공급하는 셈이다. 실험 결과 기존의 RNA간섭 치료기술에 비해 잘못된 단백질 생성을
억제
하는 효과가 5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생체 내에서 RNA나 단백질 등을 자유자재로 생산할 수 있게 돼 다양한 난치병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페로몬으로 짝짓기가 결정된다. 짝짓기를 유도하는 페로몬과 달리 스스로 짝짓기를
억제
하려는 시도도 있다. 멸종위기곤충 Ⅰ급인 붉은점모시나비 수컷은 짝짓기 후에 암컷에게 물리적으로 다른 수컷들의 접근을 막는 주머니(Sphragis)를 만들고, 암컷은 스스로 짝짓기 페로몬 양을 줄여 더 이상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