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577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거운 짐 장시간 단단히 쥐는 로봇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공개됐으며, 올해 2월호 저널에 실릴 예정이다. 로봇 장갑을 끼면 무게 15kg의 짐을 15
초
간 계속 들고 있어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서울대 제공 ... ...
위성+이동통신 결합한 6G 핵심기술 R&D 본격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기업·기관에 R&D 비용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6G 기
초
연구 강화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중심의 6G 연구센터를 선정·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 역량 결집을 통한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해 올해 3월부터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 ...
코로나19 확진자 하루새 870명 늘어 사흘연속 1000명 미만…사망자 19명 치명률 계속 올라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하루새 19명이 늘어 1046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평균 치명률은 1.57%로 나타났다. 지난달
초
1.50%에 비해 증가했다. 코로나19로 확진된 이후 상태가 위중하거나 중증 단계 이상으로 악화한 환자는 전날보다 11명 줄어 총 400명으로 집계됐다. 하루 신규 검사 건수는 6만4943건으로 전날 6만5508건보다 565건 ... ...
"변이 코로나바이러스는 새로운 대유행의 전조"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변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약 25%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의 경우 지난달
초
만 해도 변이 바이러스 환자가 0.2%에 불과했지만 3주 뒤에는 2.3%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변이 코로나바이러스와 중증 환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다. 그러나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 ...
[소재의 미래]⑻이산화탄소는 에틸렌으로, 산소는 전기로…‘꿈의 전기차’ 향해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슈퍼 커패시터를 개발했고, 이후 물을 기반으로 한 신개념 저장 소자를 이용해 수십
초
만에 충전 가능한 기술도 개발했다. 소듐이온 하이브리드 전지, 원자 틈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전기화학 촉매, 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리튬-공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소자 등 그간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알래스카주에 생성된 고기압은 미국의 산불 발생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9월
초
미국 오리건주는 뜨겁고 건조한 바람이 불어와 대형 산불이 발생했다. 알래스카주에서 발달한 고기압에서 바람이 시계방향으로 불어 나오면 알래스카 남동쪽에 위치한 오리건주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 ...
영국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2명 늘어 변이바이러스 확진 총 12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영국 변이는 2020년 9월 중순 이후, 남아공 변이는 2020년 11월
초
2차 유행 이후 확인됐다. 두 변이바이러스는 서로 유래가 다르지만 501번 아미노산이 아스파라긴에서 타이로신으로 바뀌는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방역 당국은 “2020년 5월 서울 이태원 클럽발 ... ...
당신이 얼마나 아픈지 누구나 이해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발라 약 10분간 통증을 유발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캡사이신을 바른 종이를 혀에 대고 10
초
간 문 다음 빼낸다. 다음 1분간 입으로 숨을 쉬며 캡사이신이 혀에 스며들게 하는 방식이다. 지속적 통증의 강도를 예측하는 뇌기능 커넥톰 마커다. 각 선은 뇌기능 커넥톰 마커에서 다른 뇌 영역 간 ... ...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 내달 18일 '공포의 7분' 도전
연합뉴스
l
2021.01.04
이런 EDL 과정을 거쳐 착륙에 성공했고, EDL 제어기술도 그때보다 더 정교해졌지만 약 410
초
간 수백가지의 과정이 톱니바퀴처럼 자동적으로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공포의 7분'은 여전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화성 착륙이 쉽지 않다는 점은 인류의 화성 탐사선 중 40%만 착륙에 성공한 ... ...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만들면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W/mK는 폭이 1m인 물체의 양쪽 온도 차가 1도일 때 1
초
에 1W(와트)에 해당하는 열에너지가 전달된다는 뜻이다. 연구에 참여한 벤자민 커닝 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선임연구원은 “현재 시판되는 최고 수준 방열 소재보다 효율이 약 1.5배 좋은 소재를 만들 수 ... ...
이전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