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큰
그림
보러가기“게놈해독 장비가 발전하는 속도는 반도체 칩의 처리속도가 18개월 만에 두 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보다 훨씬 가파릅니다. 최근 수년 동안은 해독 속도가 매년 10배씩 증가했으니까요.”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는 4월 27일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GET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마찬가지다. 임신을 해서 새끼가 뱃속에 있어도 여전히 잘 날고 있다”고 설명했다. 큰
그림
보러가기앵무새 꼬리에서 비행 안정성 해법 찾아오래전부터 동물학자들이 조류와 곤충의 움직임을 관찰해 왔다. 주로 해부학적이거나 운동학적 구조를 연구했다. 하지만 하늘을 날고 싶어 하는 인류의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을 것 같았다. 그와 그가 만든 방조제를 만나기 위해 5월 13일 전북 김제를 찾아갔다. 큰
그림
보러가기바다를 가르는 33.9km 4차선 도로오후 1시. 김제역에서 취재를 도와주기로 한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사업단 박철균 계장과 만나 함께 자동차를 탔다. 30분쯤 달렸을까. 새만금 방조제가 드디어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죽 내밀며 두 스티로폼 구의 모습을 관찰한다.2009 동경과학축전에서 소개된 실험이다.
그림
에서 위쪽 컵에서는 스티로폼 구보다 물의 관성이 더 크고, 아래쪽 플라스틱 컵에서는 공기보다 스티로폼 구의 관성이 더 크다. 관성과 질량은 어떤 관계일까갈릴레오는 이처럼 마찰력이 없는 상태에서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천만 원에 한 사람의 게놈 전체를 해독하는 상용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대를 맞았다. 큰
그림
보러가기3세대 염기해독기 개발 한창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DNA이중나선구조를 밝혔을 때만 해도 DNA염기서열을 해독한다는 건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로 보였다. 그런데 20여 년 뒤 영국의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진은 어떤 예술 사진에도 뒤지지 않는다.새 책세밀화로 보는 나비 애벌레권혁도 글,
그림
| 길벗어린이 | 36쪽 | 1만 원애벌레가 나비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세밀화로 담았다. 생태세밀화 작가인 저자는 사실적인 묘사와 정확한 생태 관찰을 하기 위해 나비 100여 종과 꽃 150여 종을 직접 길렀다.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수십만 명에 이른다. 하지만 1만 달러를 넘나드는 기존 인공무릎은 가난한 환자에게는 ‘
그림
의 떡’이다. 이를 인식한 미국 스탠퍼드대 대학생들은 지난해 단돈 20달러에 무릎관절과 똑같이 작동하는 인공무릎을 만들었다.플라스틱 조각 5개, 볼트와 너트 4쌍으로 구성된 이 인공무릎은 딱딱한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연구실을 둘러보니 두꺼운 책과 흰 가운 외에도 군데군데
그림
들이 눈에 띈다.“제가
그림
에 관심이 좀 많습니다. 연구를 잘 하기 위해서는 과학 지식도 중요하지만, 예술에서부터 사회 문제까지 세상사에 두루 관심을 둬야 합니다. 책도 그런 면에서 펴낸 것이죠. 제가 몸담고 있는 생물공학 분야의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갇혀 있었던 미로 그리기십자가 모양의 선분을 그리고 4곳의 가장 자리에
그림
과 같이 ‘ㄴ’ 모양의 도형을 그린다. 그리고 그 위에 점을 찍는다. 그린 도형과 점을 순서대로 하나씩 연결하면 미로를 그릴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 ...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방법을 제게 알려 줬어요. 누가 이런 방법을 생각했겠어요. 제 친구 정말 똑똑하지요.
그림
속의 남자는 미로를 탈출하지 못하는 미노타우로스의 어리석음을 조롱하고 있어요. 제 예술가 친구들의 실력이 대단하지요? 하하. 소개하지는 못했는데 문학이나 영화를 하는 제 친구들도 미로를 소재로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