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달 얼음 깨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지역은 이름 그대로 태양빛이 들지 않아서 에너지를 얻기 힘듭니다. 따라서 달 얼음을 캘 때 채굴하는 로버의 충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번 챌린지에서 1등을 한 팀은 로버 두 대를 한 조로, 충전과 채굴 역할을 구분해 실행하는 시스템입니다. 로봇 청소기를 연상시키게 하는 ... ...
- [현장취재] 과학 잘 하는 어린이는 다 ◯◯동에 산다? “어과동으로 가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성!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스튜디오 지면 사진 촬영도 함께 진행됐어요. 셔터 소리가 들릴 때마다 척척 바뀌는 모델들의 포즈에 스텝들이 모두 감탄했어요. 카메라 앞에서 어색함도 잠시! 아이들의 표정이 무척 신나 보였어요. 특유의 발랄한 모습이 촬영장 분위기를 더욱 밝혔지요. 지면 촬영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밸런스 스스로 조절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2~3분 정도는 어떨까요? 가족들과 목표를 세워 보세요.4.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있을 때는 스마트폰을 무음으로 바꾸고 다른 방에 둬 보세요.5. 자리에 눕기 전 최소 1시간 전에는 스마트폰을 끄거나 다른 곳에 둬 보세요.스마트폰은 뇌를 활성화해 잠을 못 이루게 만듭니다.6. 스마트폰 활동은 줄이고 ... ...
- [특집] 달 얼음 또 어디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호니볼 박사는 “물의 양은 1㎥ 면적에 약 350㎖”라며 “신호가 포착된 지역은 해가 떴을 때 온도가 120℃ 이상으로 올라 물이 있더라도 증발해 사라지므로, 이 지역에서 물이 증발하지 않는 특별한 과정이 일어나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어요. 달에서 직접 물을 만들어 쓸 수 있다?!최근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스페이스 모터쇼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다다를 때쯤…, 우주선에선 경고음이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계기판엔 연료 부족을 알리는 붉은색 경고등까지 현란하게 깜빡이는 게 아닌가? “수연! 지구까진 어림도 없겠어. 연료를 잡아먹는 우주쓰레기부터 처리해야겠어!”수연이와 동글이, 우주쓰레기를 무사히 버리고 안전하게 지구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교수는 “엑소슈트가 단순히 근력을 보조하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작업이나 운동을 할 때 올바른 동작을 유도해 부상을 방지하거나 통증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어요. 에필로그“허허, 고맙소! 이제 다리에 쥐가 나도 해결할 방법을 알았으니 운동을 시작해서 튼튼한 몸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할로윈 특집 우리 집 부엌에 귀신이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실제로 이스트는 진핵 생물 최초로 유전자 서열이 모두 밝혀진 생물이 됐어요. 빵을 만들 때 주로 쓰이는 이스트 종인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의 유전자 서열이 1996년에 발표됐죠. 또, 2001년부터 2013년까지 노벨상을 받은 연구 4개가 이스트를 활용한 것이었어요. 주로 질병에 관한 과학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우리 집 주방에서 화산이 폭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이처럼 화산은 꼭 폭발하지 않아도 화산가스를 뿜어내기 때문에, 화산 지대에 갈 때는 조심해야 한답니다. 스미스와 함께 ‘4M 주방의 과학 세트’를 즐겨 보자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나와 다른 사람의 권리 존중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따라야 한다는 약속을 하는 거예요. 간혹 CCL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저작물도 있어요. 이때 그 저작물을 만든 사람에게 직접 허락을 구하고 사용해야 하지요. 저작권을 확인하는 과정은 디지털 세상에서 다른 사람의 시간과 노력을 존중하는 디지털 시민의 첫걸음이랍니다. 필자소개 김지훈 ... ...
- [가상 인터뷰] 딸랑딸랑~, 가까운 듯 멀리 떨어진 방울뱀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증가했지.이후 방울뱀 소리를 참가자에게 들려주며 방울뱀이 가까이 접근했다고 생각될 때 신호를 달라고 했지. 방울 소리 주파수가 급증하자, 참가자들은 방울뱀이 더 가까이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어. 차그나우드 교수는 “포유류는 포식자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다가오면서 커지는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