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통해 쓰나미 경보센터로 정보를 전달한다. 넓은 지역을 촘촘히 잇고 있는 쓰나미 경보
시스템
덕분에 훨씬 더 정확하고 빠르게 쓰나미를 감지할 수 있다. *부이 : 바다 위에 떠 있는 해상 관측 기구. 서서히 다가오는 위협, 태풍지진과 더불어 가장 많은 피해를 끼치는 자연재해는 바로 태풍이다.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모든 사람들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이 모인 경제
시스템
은 ‘보이지 않는 손’이 알아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돌아가도록 도와줄 것이다.그러나 1970년부터 이뤄진 심리학자들의 실험은 사람들이 결코 게임 이론이 예측하는 대로 합리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다는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위해 기초과학 학과를 선택하고 있는 셈이다. 연세대 생물학과 김응빈 교수는 “생명
시스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의 절반 이상이 의학전문대학원을 준비하고 있다”며 “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필요한 생물학이나 미생물학 같은 과목을 재수강하거나 청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학생들이 부품을 깎는 일을 하는 건 아닙니다. 대신 부품을 설계해 제작을 의뢰하고 운영
시스템
을 만드는 일을 하죠.”이 단장은 요즘 말하는 이공계 위기도 결국 대학원 생활부터 잘못됐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원생 스스로가 자신을 교수의 피고용인으로 생각하고 시키는 일만 하니 실험실 ... ...
남의 것 흡수하고 소화하면 내 것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우리도 싱가포르의 이런 자세에서 분명 배울 점이 있지 않을까.이명은서울대 지구환경
시스템
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하천 오염물질 확산 해석모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싱가포르국립대 열대해양과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목재 건축물을 갉아 먹는 골칫덩어리인 반면, 폐목재에서 바이오연료를 얻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열쇠를 쥐고 있는 곤충 흰개미. 이 원시적인 생명체는 어떻게 나무만 ... 원생생물 안에서 이뤄진다”며 “흰개미의 생존 배경에는 이렇게 고도로 발달한 공생
시스템
이 있다”고 설명했다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것이다.“교수들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게 조건 없이 최소한의 연구비를 주는
시스템
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지금처럼 진짜 의미 있는 일은 해보지도 못한 채 연구자로서의 삶을 보내는 모습이 줄어들지 않을까요.”머리가 허옇게 샌 초로(初老)인 최 교수의 안경너머 보이는 눈빛은 어느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밝혔다.그가 하천 해석 연구에만 매달리는 이유가 있을까. 서 교수는 “딸이 지구환경
시스템
학부에 입학했는데 아빠가 하는 연구는 어렵고 재미가 없다며 전공을 바꾸더라”면서도 “IT나 나노기술처럼 연구 내용이 화려하진 않지만 국가에 꼭 필요한 기반기술이란 점에서 사명감과 보람이 ... ...
환경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응용한 공정까지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춰 연구한다. 환경공학은 생태계적 관점에서
시스템
을 주로 연구한다. 국내에서 관련 연구를 활발히 하는 대학은 서울대, 한양대, KAIST다. 국외에서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학공정개발로 유명한 미국 위스콘신대와 전통적으로 환경연구에 앞서있는 미국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진동수와 건물의 고유진동수가 비슷하면 건물은 더 큰 피해를 입는다.서울대 지구환경
시스템
공학부 김재관 교수는 2005년 한국지진공학회에 발표한 논문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서울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강남지역 대로변의 피해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 고층 건물보다 저층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