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역사학
역사
d라이브러리
"
역사과학
"(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공산주의 국가인 러시아(옛소련)가 1957년 10월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을 발사한데 이어, 1961년 3월 인간을 처음으로 우주로 보낸 일은 공산주의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미국인들에게 대단한 충격이었다. 44세의 젊은 나이로 대통령에 오른 혈기왕성한 J. F. 케네디(1917-1963) 대통령도 마찬가지였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수학은 자연의 근원에 이르는 길이자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증거다. 수학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움은 참으로 많다. 복잡한 숫자들이 하나의 식으로 통합되고 단 하나의 함수로부터 수많은 형태들이 풀려 나온다. 소립자들의 운동을 표현하는 양자역학의 파동방정식이 보여주는 단순함과 명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종교 부흥회에서 불치병이 회복되는 기적이 일어난다고 한다. 또 명상을 하면 웬만한 질병이 치료된다. 이 현상들은 몸의 자연치유력이 발휘돼 발생한 것일가. 아니면 기(氣)와 같은 제3의 생명에너지가 존재하는 것일까.복음전도사가 “일어서라. 너의 병은 나았다”라고 소리치자 수많은 청중이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939년 여름 아인슈타인(1879-1955)은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에서 한가롭게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 그때 나치스에 쫓겨 뉴욕에 머물고 있던 레오 질라드(1898-1964)가 그를 찾아왔다. 질라드는 한때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가정용 냉장고(독일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제작했으나 소음이 너무 커 시판되지 않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강원도 일대가 지진 다발지역이라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에 활성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동강댐은 지진으로부터 과연 안전할까.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 지진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4월 초 기상청은 최근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미래의 직업을 선택할 때는 사회의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이는 곧 과학기술의 흐름을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제 21세기의 직업세계에서 과학이 어떤 부가가치를 창출해낼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은 우리들의 몫이다.마이클 H.하트가 지은 '세계사를 바꾼 사람들' 이란 책에는 인류역사를 통해 세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최근 컴퓨터 바이러스 때문에 울상을 짓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지금까지 차곡차곡 정리해온 값진 데이터들이 일순간에 송두리째 날아갔기 때문이다. 어디다 하소연조차 할 수 없는 컴퓨터 바이러스. 이제 남의 일이라고 웃어넘길 수만은 없다.20xx년 4월 13일 금요일, 컴퓨터 프로세서를 생산하는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피카소의 그림에는 4차원의 시공간을 주창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들어있다. 몬드리앙과 칸딘스키는 사물을 점, 선, 면으로 단순화하고 순수한 조형세계를 구축했다. 이제 그림은 무엇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게 되면서 추상미술은 그림을 돼지저금통과 똑같은 하나의 물건으로 취급했다.15세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온몸에 털이 난 코뿔소, 고릴라만한 여우원숭이, 매머드 등 대형동물들이 맹위를 떨치던 빙하시대. 그러나 빙하시대 최고의 주인은 인간이었다. 빙하시대는 지금과 어떻게 달랐으며, 인간은 어떻게 빙하시대를 거치면서 진화해 왔을까. 빙하기란 기온이 낮아 지구 표면에 넓게 얼음이 뒤덮여 있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① 열번째 행성은 없는가? - 1백50년 탐색 의외의 수확들1841년 존 아담스는 천왕성의 궤도운동을 조사하던 중 상당한 양의 궤도오차가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아담스는 그의 계산을 그리니치 천문대에 제출했으나 나이가 너무 어리고 무명의 천문학자였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1845년 프랑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