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결정들이 달라붙는 ‘모결정’ 역할을 해요. 시간이 지나면 모결정을 중심으로 결정이 점점 커져 큰 덩어리가 만들어진답니다. 따라서 하트 모양으로 결정이 붙도록 만들고 싶다면 파이프 클리너를 하트 모양으로, 별 모양으로 만들고 싶다면 별 모양으로 구부려 보세요. 원하는 모양의 보석을 ...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헉헉, 목말라... 깨끗한 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현상을 ‘응결’이라고 해요.우리가 준비한 소금물을 가열하면, 소금은 그대로 남고 끓는점이 낮은 물만 증발해 수증기가 돼요. 그러면 이 수증기가 랩 위에 놓인 얼음 때문에 응결되면서 물방울로 맺혀 컵으로 떨어지지요. 컵에 고인 물은 색도, 맛도 없는 순수한 물이랍니다. 아프리카 남부,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난민을 한눈에 보여주는 지도 ‘유럽을 향한 물결’를 만들었지요. 지도는 난민 25명을 점 하나로 표시해 이동 경로를 표현했어요. 또 다른 지도 ‘난민 프로젝트’는 전세계 난민 현황을 보여줘요. 해마다 난민이 발생한 국가와 난민을 받은 국가를 볼 수 있지요. 이 지도를 보면 난민은 대부분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경험이었어요. 시드볼트는 아시아 최대규모의 야생식물 종자보관소로, 현재 3203종 4만 6675점의 종자가 보관돼 있어요. 지하 46m 깊이의 시드볼트 터널로 들어가자 서늘한 기운이 느껴졌지요. 시드볼트부 종자보존저장팀 이하얀 팀장님은 “종자는 영하 20°C, 수분이 제거된 장기 저장고에 10년 이상 ... ...
- [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공항 천장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요. 이 카메라는 공항 내의 여행객들을 인지해 점으로 표시해 주지요. 또 공항 와이파이에 접속한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도 수집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느 지역에 몰려 있는지 알아내요.이 자료를 통해 출국장에 사람이 몰릴 경우, 카운터를 더 운영할 수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이름으로 발표되었어요. 한 식물의 첫 번째 초상화를 직접 그릴 수 있었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가 있었던 경험이었어요.” 여러분도 직접 식물을 그려 보세요!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식물의 종류를 알려주는 어플도 있지만, 여전히 식물세밀화는 도감이나 논문에서 식물의 종류를 알려주는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계획이 전혀 없었어요. 하지만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이런 논의를 하고 있지요. 이런 점에서 한국의 DMZ 생태공원이 독일의 그뤼네스 반트보다 훨씬 빨리 발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하지만 독일은 분단 중에 전혀 군사적 충돌이 없었던 반면, 한국은 DMZ 설정 이후에도 몇몇 군사적 충돌이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장 수석연구원은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소프트로봇 기술이 더 발전하면 인간과 점점 더 가까운 모습의 로봇이 나올 것”이라며 “여기에 소프트웨어인 AI를 넣으면 ‘실물’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조금은 먼 미래의 일일 겁니다. 그런데 장 수석연구원은 “하드웨어 기술은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렵다는 점이다. 1년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간을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일본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디플레이션 환경에 맞춰져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주식이나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지만, 20년 넘게 고정된 가격표를 보던 습관을 공급자나 소비자 모두 바꿀 용기가 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용기 부족’ 현상은 일본의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