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제1회 SW 마에스트로 골든벨 “나도 스티브 잡스에 도전할래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실력 때문에 43번까지 가서야 최종 우승자를 가릴 수 있었다.최종 우승자는 올해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강태원(서울 상원초 6)군이었다. 강군은 대학 새내기가 되는 형들을 제치고, 당당히 우승을 차지했다. 강군의 꿈은 환경을 보호하는 프로그래머다.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운행을 막는 에너지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여의고, 어머니의 사랑도 받지 못한채 생활고에 시달려야 했다. 돈이 없어서 초등학교도 끝까지 다니지 못하고 일을 했다. 그는 10살 때부터 이른 새벽에서 저녁까지는 제지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책으로 배움의 갈증을 달랬다. 그러던 중 16세에 운명처럼 자신이 일하던 제지공장에서 ‘전기 설치 ... ...
- [생활] 나누는 수학, 함께하는 즐거움 인천여고 펜로즈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학을 가르쳐 주고 있다.“처음엔 다들 재미 없어 하고 계속 장난만 쳤어요” 수학교사가 장래희망인 김솔(2학년)학생은 처음 아동센터를 찾았을 때 분위기를 이렇게 표현했다. 이름만 들어도 싫어하는 수학, 흥미를 끌만한 무언가가 필요했다. 아까 봤던 엽서가 떠올랐다. 손수 만든 수학 엽서는 ...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학으로 훈련한 사람은 어떤 분야로든 나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모범 답안이 있는 고등학교 때까지의 수학과 달리,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를 풀면서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함께 의미를 찾는 과정이 진정한 수학의 모습이라는 것이다.곽 교수는 수학 실력은 직선을 따라 좋아지는게 ...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띵소프트의 강진국 팀장님도 초등학교 때부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했다고 해요. 중학교 때는 직접 ‘베이직’이라는 언어로 자동차끼리 경주하는 게임을 만들어 보면서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도 느꼈다고 해요.자, 이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알겠지요? 그럼 소프트웨어 능력을 갖추면 어떤 ...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5명 중 1명 “굶는 다이어트 경험”지난해 중·고등학교 청소년 8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30일 동안 단식이나 식사 후 구토 등의 경험이 있는가’ 하는 질문에 남학생은 12.9%, 여학생은 21.2%가 그렇다고 답했다(2013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중·고등학생 10명 중 1~2명은 이미 극단적인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종양 세포를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Q 원자핵공학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고등학교 때 과학 선생님이 원자력이 우주여행의 미래라는 말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인류가 언젠가는 우주에 나가야 하는데, 당시에는 원자력이 산소 없이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유일한 동력이었습니다. 그래서 ... ...
- 굶주린 늑대 ‘다자바 머그리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제도 어렵게 냈을 뿐 아니라 양도 무거운 녀석들만 모아놨다. 하지만 늑대는 학교에서 ‘몸짱’으로 소문난 근육질이었다.미션4 마지막 문제! 강 건너기늑대가 세 번째 문제마저 맞혀 버렸다. 썰렁홈즈는 그만 울상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목소리를 가다듬고 마지막 문제를 냈다.“배고픈 양들이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로체스터 망토로 불리게 되었답니다.Q. 과학에는 언제부터 관심을 가지셨나요?초등학교 때부터 자연의 이치를 이해하고 싶어서 과학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어요. 어려서부터 호기심이 많고 질문도 많았는데, 그것들을 답해 주는 학문이 물리학이란걸 알게 되었지요.Q. 과학자를 꿈꾸는 ...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수학을 잘 못했어요.”그의 학창시절에 대해 물었더니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고등학교 때는 단지 수학자의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1990년 일본의 대수 기하학자 시게후미 모리 교수에게 필즈상의 영광을 안겨준 ‘모리 프로그램’에 큰 매력을 느꼈다. 그 뒤로 모리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위해 ... ...
이전219220221222223224225226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