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등학생들이 만든 호버크래프트 '희망 2000'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런 학생들이 어른들도 하기 어려운 호버크래프트(공기 부상) 차량을 만들었다. 서울
현대
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 연구반 28명의 학생들이 그 주인공. 호버크래프트란 차량 본체가 일정한 높이로 공중에 뜬 상태에서 움직이는 차세대 운송수단으로 지면이나 수면 등에서 표면 마찰이 없어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과학자에 따라 유전자 개수는 적게는 3만에서 많게는 14만까지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
과학의 최첨단을 달린다는 게놈연구에서 왜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날까.초기에 많은 연구자들은 게놈에서 전사된 1차 산물인 RNA의 모든 종류를 모아 유전자의 종류나 유전자수를 파악해 왔다. 1차 산물인 RNA는 ... ...
사이버공간의 또 다른 나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자신을 규정짓는 정체성, 즉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생각을 형성해간다. 그러나
현대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에게 또다른 세계를 제공했고, 이 세계에서 ‘나’의 모습은 현실의 그것과 다를 수 있다. 이 세계는 다름 아닌 인터넷의 대중화로 일상의 한 부분이 돼가고 있는 사이버세계다.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해서 다음날 그 결과를 얻게 되는 것이지 그것이 꿈 때문에 그렇게 됐다고 할 수는 없다.
현대
인의 일상 생활은 다양성이 무한하기 때문에 우리는 확률과 통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은 믿음을 대신할 뿐 진리가 될 수는 없다. 일기예보가 틀려서 비에 젖었을 경우에는 옷을 말려 입으면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위해 사용한 살충제 때문에 해충들의 내성은 더욱 더 강력해진다. "과학이 가장 끔찍한
현대
무기로 무장한 채 곤충을 향해 총부리를 들이대고 있는데 사실상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를 향한 총부리라고 생각하면 깜짝 놀랄 만한 불행임에 틀림없다"라는 카슨 여사의 경고와 같이, 인간이 ... ...
자동차 속도 자주 바꾸면 교통체증 유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거리에서
현대
인의 심신을 더욱 지치게 만드는 주범인 교통체증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이루어졌다.최근 일본 시즈오카 대학의 다카시 나가타니 교수는 ‘피지컬 리뷰’ 최근호에 발표된 논문에서 “속도를 자주 바꾸는 자동차도 심각한 체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차선이 하나뿐일 경우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영국이라는 사회적 배경에서 집필됐다. 그러한 의미에서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는
현대
사회 전반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그렇다면 ‘두문화’는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지금의 우리 사회 역시 과학적 배경과 경험이 거의 없는 비전문가에 의해 과학기술 ... ...
컴퓨터 속의 통역사 자동번역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현대
를 사는 한국인에게 영어는 너무나 큰 스트레스다.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영어로 된 정보가 많아지면서 영어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영어문서를 한국어로 번역해주는 자동번역기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번역기는 과연 얼마만큼 번역을 잘 할 수 있을까인터넷의 발달로 영어의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를 정확히 측정한 후 청동으로 간의를 제작했다.적도의식 망원경과 같은 원리간의는
현대
천문학에서 망원경을 올려놓는 적도의식 장치와 똑같은 원리로 천체의 위치를 측정한다.천체의 위치는 두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방위각과 고도를 쓰는 지평좌표계와 적경과 적위를 쓰는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많게는 수백만 개의 신경세포들이 동작하며 만들어내는 뇌파의 의미를 이해하기에는
현대
과학은 너무나 모자란 수준. 뇌파의 움직임을 기술하려면 신경세포의 개수만큼 많은 변수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그래서 신경생리학자들은 뇌파를 대뇌의 복잡한 사고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