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향숙_hsl@ewha.ac.kr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제24대 대한수학회장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공개키 암호를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양자내성암호(PQC)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중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상무로퇴직한뒤연구자로서의꿈을펼치기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향했다.
현재
중국칭화대전자공학과교수및인공지능센터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소자연구를하고있다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투자의 미래’ 등 다양한 책을 통해 경제 지식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며, 블로그(blog.naver.com/hong8706)를 통해 독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1m)라면, 유기 반도체는 10분의 1 수준인 3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면 충분하다.
현재
정 교수팀은 두께가 100nm인초박형유기태양전지를개발했다. 두께가 얇은 만큼 쓰임새도 다양하다. 건물 외벽을 태양전지로 입힐 때 태양전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표면 부착력이 떨어진다. 초박형 태양전지는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거듭한 끝에 내린 결정이다. MIT, 하버드대에서 각각 학부와 대학원을 졸업한 박 교수는
현재
서울대 학생들의 역량이나 교수들의 강의 수준에 있어서는 미국 대학과 전혀 차이가 없다고 보고 있다. 결정적인 차이는 토론 문화다. 활발하게 토론하면서 자유롭게 생각을 나누고 발전시킬 수 있는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드라이브 하는 스타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스타맨의 우주 여행을 생중계했지요.팰컨 헤비의 목적지는 화성 궤도예요. 전문가들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로켓으로 손꼽히는 팰컨 헤비의 추진력이라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까지 날아갈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또 팰컨 헤비는 지상에서 추진력을 얻을 때 쓰였던 ... ...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곳이라면 어디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었지만, 1970년대 이후부터 볼 수 없게 됐어요.
현재
소똥구리는 환경부가 지정한 ‘지역절멸’ 종이에요. 야생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는 뜻이지요. 전문가들은 소똥구리가 먹이와 서식환경이 변해서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해요. 옛날에는 소가 넓은 땅에서 ... ...
인공어초 파헤치기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1년에 만든 사각형어초입니다. 이후 40년 넘게 많은 사람이 인공어초를 연구했지만, 2018년
현재
특허를 받고 일반어초★로 등록된 건 총 79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공어초를 설계하는 과정이 얼마나 까다롭기에 이렇게 적은 걸까요? 일반어초★ 2년의 시험기간을 거쳐 바다에 적용할 수 있는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공정한 랭킹 제도를 만드는 게 곧 FIFA가 주관하는 대회의 신뢰도와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현재
월드컵 본선 경기의 시드 배정이나 지역별 예선 면제 등 많은 중요한 사항을 FIFA 세계 랭킹을 통해 정하고 있습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도 어느덧 한 달 반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세계인의 축제이자 꿈의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박사는 “인간의 발길이 닿기 전 남극의 생태가 지금과 달랐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
현재
표본과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유럽 조류학 저널’ 4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80/09670262.2018.14 ... ...
이전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