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법칙
규범
원칙
법규
원리
규율
d라이브러리
"
규칙
"(으)로 총 2,543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도상 및 노반 등의 경계 부위에 방진재를 삽입하고 레일을 장대화 중량화시키며 궤도불
규칙
도를 일정한도 이내로 유지해 진동발생을 최소화한다. 구조물 측면에서의 방진대책으로는 강화노반과 탄성지지교량 사용 및 터널 구조물 중량화와 이중측벽 등을 들 수 있다.용어의 정리* 회생전력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회사인 CC사가 개발한 건강관리시스템(CAP)이 대표적인 제품이다.이는 손가락 끝에서 불
규칙
한 맥박을 측정 함으로써 얻어지는 데이터를 가지고 혼돈 끌개를 도출해 건강의 정도를 평가하는 시스템. 즉 어떤 사람이 긴장상태에 있을 때, 목욕후 휴식상태에 있을 때의 끌개가 다르게 나타나며 간이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미라가 포함된 고래자리였다는 사실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미라의 주기는 매우 불
규칙
하기 때문에 2천년 전의 정확한 극대기를 예상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는 반론이 있다.베들레헴별의 뿌리를 혜성에서 찾는 사람도 있다. 어느날 갑자기 나타나는 혜성이 항상 볼 수 있는 행성이나 계절마다 ... ...
안개 왜 생기고 건강에 어떤 영향 미치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구름이나 등산하는 사람에게는 안개로 여겨진다. 사면무 또는 산무는 열대산지에서
규칙
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마다가스카르나 킬리만자로와 같은 산지에 특징적인 습생(濕生)의 운무림(雲霧林)을 발달시킨다.이류무는 온난습윤한 기단이 차가운 지면 위를 이동할 때 차가운 지면이 공기를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훌륭한 다중성이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4개의 별로 분리해볼 수 있으며, 마치 불
규칙
하게 배열된 야구장의 다이아몬드처럼 보인다. 이것은 오리온대성운을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보이는 것이다. 오리온대성운 자체를 볼 때 보다 배율을 높여야 선명하게 보인다.■ 리겔오리온자리 왼쪽 발등에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1967년 케임브리지의 대학원생이었던 벨(Jocelyn Bell)이라는 여대생은 새로 설치한 안테나에
규칙
적으로 들어오는 이상한 전파신호를 발견했다. 신호간격은 약 1.33초였다. 30여년간 이론상으로나 존해한다고 믿어왔던 중성자별이 드디어 발견된 순간이었다. 그녀 역시 처음 전파신호를 발견했을 때 이를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일정치 않은 은하로 보인다. 불
규칙
은하에 대해선 자료도 많지 않고, 모양과 특징이 불
규칙
하므로 그때그때 관측하려는 대상의 특징을 자세하게 알아 두어야 한다.앞에서 언급했던 이들 성운과 성단, 은하들은 아주 흥미있는 관측의 대상이지만 초보 관측자에게는 처음에는 그다지 큰 관심을 끌지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여기서 각 형질에 대응하는 유전자는 일정한 염색체의 일정한 위치에 있고 이 유전자가
규칙
적으로 부모에게서 자손에게로 전달된다고 여겨졌다.염색체는 주로 단백질과 디옥시리보핵산(DNA)으로 구성돼 있다. 핵산이 유전자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증거가 속속 확인되던 1953년에 왓슨과 크릭이 DNA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별들 중에서 행성을 쉽게 찾을 수 없다. 지난달에는 천구상을 매우 복잡하게, 그러나
규칙
적으로 움직이는 행성의 분류와 움직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므로 이번달에는 초보자가 행성을 찾는 방법과 의미있는 관측을 위해 필요한 각 행성의 간략한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자.행성의 위치를 찾는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있다.인간고유의 기능, 언어를 가능케 하는 뇌이러한 인간의 언어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
규칙
들을 다루는 곳이 우리의 두뇌이다. 두뇌중에서도 왼쪽 뇌 표면 부분의 5mm두께밖에 되지 않는 뇌피질(腦皮質, cortex)이라는 중추신경 부위가 언어를 담당하고 있다. 뇌피질에는 약1천억의 뇌세포가 서로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