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이런 장면은 관객들의 공포심을 급증시킨다.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 뇌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우리 뇌에서 두려움과 관련된 대표적인 부위는 ‘편도체’다. (이 말이 편도체가 공포의 담당 부위라는 뜻은 아니다. 148쪽 참조)영국 런던대의 크리스 프리드 교수팀은 1996년,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쌍성계에서 오는 중력파가 이 주파수 대역에서 검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 제안에
대해
학회에 참석했던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보였고, 특히 중력파를 검출하는 방식과 그 기술적인 면을 물어보는 질문이 많았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연구소장인 브루스 알렌 교수는 “소그로가 한국에서 건설될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사를 조절하는 DNA의 섬후성유전학자들은 인간 유전체 내의 메틸화 분포와 그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CpG 섬(CpG island)’이라는 게 있다. CpG란 DNA 염기 중 시토신 뒤에 구아닌(G)이 나오는 특별한 반복 서열을 말한다. 이 서열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서 특별히 메틸화가 잘 일어나는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120보~140보(144m~168m)의 간격으로 배치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이를 화성 전체로 확
대해
, 성곽 위의 모든 공격시설을 중심으로 원 모양의 수비범위를 그려 봅시다. 정말 ‘물샐 틈 없다~’는 말이 이해되죠? 성을 둘러싸고 2중, 3중의 방어망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이 방어망 속에는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뤄진 최초의 축구공이다. 독자기자들은 브라주카를 직접 만들어 보며 구 테셀레이션에
대해
배웠다. 선수 대기실부터 그라운드까지, 축구전용경기장 탐방강연이 끝나고, 독자기자들은 축구전용경기장 탐방에 나섰다.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경기장과 관중석 사이가 가까워 경기를 생생하게 볼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들어선 뒤로는 점점 더 많은 생물학자들이 수학을 활용하고 있다. 수학 덕분에 생물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서고 있는 셈이다.인터뷰수학으로 생명에 귀를 기울이다이언 스튜어트이언 스튜어트는 과학소설부터 수학 칼럼까지 쉽고 재미있는 글을 써온 수학자 겸 작가다. 모든 사람이 수학을 즐기길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파밧파밧 전기 튀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군요. 하하하!”나는 우리가 흔히 번개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을 먼저 취재하기로 했다.진실 1 우리가 보는 번개는 사실 대부분 위로 솟구치는 것!번개사냥꾼은 번개가 생기기 가장 좋은 조건이 바로 높고 두꺼운 소나기구름이 떠 있을 때라고 설명해 줬다.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친근한 학생들 앞에서 감탄사를 연발하던 기자는 인터뷰가 시작되자 먼저 편지에
대해
물었다.“예전에는 스승의 날에 편지를 받는 걸 당연하다고 여겼어요. 편지가 너무 짧으면 서운하기도 했지요. 그런데 교단에 오래 머물다 보니 그 편지가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았습니다. 한 줄짜리 편지라도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시스템’이 급부상하면서 견인차 역할을 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간이 특정분야에
대해
가진 전문적인 지식을 컴퓨터에 이식해, 일반인도 이 전문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이다. 1960년대 화합물의 구조를 추정하는 ‘덴드럴’ 시스템이 시초다. 잘 알려진 전문가 시스템으로는 1970년대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1960년부터 영국의 표준원거리통신연구소에서 일하던 카오는 마이크로파와 빛의 전파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은 빛을 통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전송 과정에서 손실이 워낙 커서 20m 정도만 가도 신호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카오 또한 이런 문제점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