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호언장담
장담
함성
고함
대성
호언
자랑
d라이브러리
"
큰소리
"(으)로 총 2,4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라디오와 TV를 괜히 분해해서 고장나게 하는데 선수였으나 이제는 고치는 의사가 되려한다. 입시를 끝내고 사회의 축소판인 대학에 들어오면 누구나 처음에는 실망감을 맞볼 것이다. 자신의 보랏빛 기대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이 실망감은 대학생활에서 활기를 빼앗아 버리고 만다.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를 이해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다. 그렇지만 우리가 중ㆍ고등학교에서 배웠던「지구과학」은 이해하기 힘든 개념과 복잡한 수식으로 얼룩져 있다.많은 사람들은 일식, 월식에 관하여 알고 있을 것이다.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거의 원형의 궤도로 1년 걸려 1회전을 하고 달은 한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참석자오영환(과기대 교무 처장·전자전산학부 교수)조수정(자연과학부 4년·생물전공/서울 영파여고 3년졸업)김진혁(기계재료공학부 4년·전자재료전공/경기과학고 3년졸업)전정렬(전자전산학부 4년·회로시스템전공/대전과학고 2년졸업)정종민(전자전산학부 4년·정보통신전공/전남과학고 2년졸 ... ...
PART3. 쾌적한 조명환경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좋은 공기나 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조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사람은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나서부터 죽어서 무덤속에 들어갈 때까지 빛과 함께 산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심지어 앞을 못보는 장님이라 할지라도 마음속에 등불을 켜놓고 그것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수박을 손으로 두드려 잘 익었는지를 알아보는 일에서 출발한 비파괴검사는 초음파현미경 컴퓨터 단층촬영등 첨단공학의 필수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기차가 역에 도착하면 작은 망치를 든 역원이 기차 바퀴부분을 두드리고 다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병원에서는 의사가 청진기로 환자의 몸속에 ... ...
뱀의 천국이 된 「괌」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괌도에는 30여종의 새들이 살고 있고 이 가운데 22종은 이곳에만 사는 토착종이다. 그런데 지난 70년대초부터 숲속에서 새소리가 줄어들더니 현재 2종은 완전히 멸종했고 나머지도 거의 멸종지경에 이르렀다. 미국동물학자들은 그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여러모로 연구했으나 알아내지 못했다. 그런중 ... ...
왜 어지러운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떨리는 안진현상을 동반하는데 주로 내이의 전정계에 병이 있을 때 발생한다.여섯째
큰소리
로 인해 일시적인 현기증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대개 내이에 병이 있을 때 그런 증상이 생긴다.일곱째 현기증은 과호흡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화가 났거나 흥분했을 때 호흡이 거칠어지면서 현기증이 ... ...
파동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중첩시키면 갖가지 모양을 연출해 보이는 신비한 파동의 세계. 이곳에도 힘과 정보를 전달하는 원리가 있다. 10문제중 0~3문제를 맞추면 낙제, 4~6문제면 보통, 7문제 이상 맞추면 우수.문제1. 그림과 같이 생쥐가 공을 사발 밖으로 밀어내려고 한다. 그러나 공은 너무 무겁고 사발의 벽은 너무 가파르 ... ...
한글문화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영어권 일어권에서 개발된 컴퓨터를 우리 문화에 짜맞추려고 한글을 뜯어 고친적이 한두번이 아니다. 이제는 우리 문화에 맞고 우리가 쉽게 쓸 수 있는 컴퓨터를…우리가 컴퓨터를 도입하여 사용한지 20년, 비록 개인용이지만 국내에서 컴퓨터 생산을 시작한지도 10년이 되었건만 컴퓨터사에서 한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민족의 영산 백두산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천지를 둘러싼 고준영봉의 비밀을 소개한다.가깝고도 먼 곳에 있는 우리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을 남북분단 이후 40여년만에 처음으로 지질학도가 학술조사를 한다는 사실 때문에 몹시 설레였다.연변 조선족 자치주의 중심도시인 연길에서 이른 아침에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