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2년 동안 프랑스 혁명과 관련된 기록이 이 달력을기반으로 써졌다. 그 바람에 후대의 역사
학자
들은 프랑스 혁명력과 그레고리력의 환산표를 보면서 날짜를 일일이 해석하는 고생을 해야 했다.이처럼 특정 제도가 불합리한 면이 있더라도 널리 퍼져 있어 바꾸기 어려운 현상을 ‘선점(qwerty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일주일에 2~3번은 나와 세미나를 하러 연구소로 등교했다. 그 모습을 지켜본 그곳 수
학자
들은 깊이 감탄하곤 했다. 자비를 들여서 프랑스로 올 만큼 열성적인 한국 학생들이 놀라웠고, 방학기간에도 밤중까지 연구소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태도가 여름휴가를 중시하는 프랑스 문화 속에서는 상상하기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질투 없는 분배법’ 이라고 한다.먼저 1960년 미국의 수
학자
존 셀프리지와 영국의 수
학자
존 콘웨이가 개발한 질투 없는 분배법을 살펴보자. 이 분배법은 분할자가 케이크를 나눈 이후, 처음 선택한 사람의 가치 판단에 따라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뉜다.(오른쪽 순서도 참고)예를 들어 민호가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방전된 듯한 모습을 보이는 현상을 ‘자아고갈(ego-depletion)’이라고 한다.따라서
학자
들은 우리의 의지력에 어떤 한정된 ‘연료’ 같은 것이 사용되는 게 아니냐는 생각을 했다. 최근에는 이 연료가 실제 우리 몸의 에너지원인 포도당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의지력을 쓰고 난 뒤에 설탕을 먹은 ... ...
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한다.1파트는 힉스 입자 발견으로 촉발된 새로운 물리학 연구를 소개한다.2파트는 한국 과
학자
가 제안하고 세계가 찾는 대표 입자 세 가지를 소개하며,3파트는 한국 핵물리학 연구의 새 장을 열중이온가속기 제작 현장을 담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해였다. 고 이휘소 박사의 안타까운 타계는 당시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던 입자물리
학자
들을 한 자리에 모이게 했다. 그 해 가을에 열린 ‘고 이휘소 박사 추모 학술대회’였다.당시 학술대회의 주제는 ‘패리티(반전) 비보존’이었다. 어려운 말이지만, 패리티는 공간에 대한 대칭성이다. 예를 들어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안 돼도 구조를 해석할 수 있다. 아직은 가설을 확인하는 단계지만 성공한다면 수많은
학자
들이 단백질 결정을 목메고 기다리는 지금과 같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한때는 수학을 기반으로, 때로는 물리학을 배경으로 성장했던 결정학이 이제는 최신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기술로 통한다.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교수가 ‘TV동물농장’이나 ‘스펀지’ 같은 프로그램의 실험 의뢰를 많이 받는 스타 과
학자
다보니, 다소 엉뚱하고 기발한 에피소드도 책 안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49가지 소주제로 돼 있어 출퇴근 시간에 잠깐씩 읽기에도 부담이 없고, 무엇보다 물리학 지식이 없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주의할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들러붙지 않고 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전자가 정상파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물리
학자
드 브로이는 이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실제로 원자에서 전자의 파동은 정상파가 허용하는 특정 파장만 가진다. 원자는 이에 해당하는 띄엄띄엄한 에너지만 가질 수 있다.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론 또는 최종이론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
학자
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2500년도 넘는 인CERN류의 수수께끼에 일차적인 종지부를 찍었기 때문이다. 이는 과학사, 아니 인류 역사의 일대 사건으로 기록될 만하다.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