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70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박테리아 정복에 AI가 도움줄까...항생제 후보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셀'에 발표했다. 연구 논문의 공동저자인 세자르 드 라 푸엔테 미국 펜실페이니아대
교수
는 "한때 수 년이 걸렸던 작업을 이제는 컴퓨터를 사용해 불과 몇 시간 안에 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AI는 새로운 약물 후보물질을 발견하는 능력을 가속화시켰으며 새로운 항생제 후보를 ... ...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분야를 서로 묶는 '대통일 이론'을 증명하기 위한 길잡이를 마련했다'고 썼다. 신
교수
는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증명한다고 해서 수학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우리가 굉장히 강력한 기반 위에 서서 수학을 바라 볼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 ...
의협 '집단휴진' 예고…서울대
교수
회, 서울대병원 휴진 만류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찬성하는 교육·입시제도 개혁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를 향해서도 서울대
교수
회는 의대 정원 증원을 강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입장문에서 "국민 다수가 의대 정원 증원에 찬성하지만, 의료계는 물론 교육계, 산업계가 이를 수용할 ... ...
가장 작은 유인원 화석 독일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고생물학자 마들렌 뵈메 튀빙겐대
교수
는 “이번에 발견된 유인원은 현존하는 어떤 유인원이나 그 화석보다 훨씬 작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유인원이 나무를 잘 탔고 치아가 살짝 마모된 것으로 보아 부드러운 과일과 잎을 먹었을 것이라고 ... ...
명망 있는 과학상 수상자들이 상 명칭 변경 요청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초기 수상자 2명의 이름을 따라 상 이름을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슈빌레
교수
도 ”새클러라는 이름은 생물물리학과 주제적인 관점에서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상 명칭 변경에 동의 의사를 전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길이 4cm에서 1.2m까지 늘어나는 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잡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오나르도 고르딜로 칠레 산티아고대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고해상도 이미징 등을 통해 원생생물이 목의 나선형 주름을 제어하는 방식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6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원생생물의 목이 세포의 모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 ...
불소 치약 대신 '이것'?…'욱신욱신' 충치 막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역할을 해요. 단 불소에는 독성이 있어서 삼키면 안 돼요. 남옥형 경희대 치대
교수
는 "치약에 든 불소는 양이 적어 몸에 해롭지는 않다"면서도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는 입안에 든 것을 잘 삼키기 때문에 2세가 지난 뒤 불소 치약을 쓰는게 좋다"고 말했습니다. 치약의 성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뇌에서 '수읽기' 일어나는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8
뇌에서 일어난 신경 반응은 앞서 만든 계산 모델의 예측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마타르
교수
는 "전전두엽 피질은 해마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해 '가능한 행동'을 머릿속으로 테스트하는 시뮬레이터 역할을 한다"며 "이러한 뇌 메커니즘을 더 깊이 이해하면 궁극적으로 의사 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짜정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06.08
이를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소개했다. 또 다른 저자인 울리히 에커 호주 서호주대
교수
를 비롯한 7명의 학자들은 네이처에 미국 대통령선거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이뤄지는 선거에 허위 정보가 민주주의를 오염시킬 수 있다며 우려하는 글을 게재했다. 저자들은 인공지능(AI) 딥페이크와 선거 ... ...
[과기원NOW] 2차원 COF 합성 기술 개발, 광전자 소자 발전 가능성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안종국 박사과정생.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임현섭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2차원 구조의 공유-유기 골격체(COF) 합성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 매끈한 표면을 가진 고품질의 패턴화된 필름 합성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유기물의 공유 결합으로 만든 다공성 결정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