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236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린수소 생산 고성능·고내구성 수전해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수전해용 고성능·고내구성 음이온교환막 소재를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4월
국제
학술지 '에너지&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은 설비가 저렴하고 기술 성숙도가 높지만 효율과 생산하는 수소의 순도가 낮다. 성능이 ... ...
지중해식 식단, 모든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 20%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우수한 수치를 기록했다. 샤프캇 아마드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미국 여성 2만5000여명의 식단과 사망 위험 관계를 25년간 추적 관찰했다. 1993년부터 199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물리탐사연구선 탐해 3호는 21년 건조를 시작해 지난해 7월 진수식을 거쳐 지난달 31일 공식 취항했다. 지질연 제공 5월 23일 오후 화창한 날씨의 부 ... 목적으로 만들어진 배이기 때문에 연구 과제를 우선순위로 하고 여유와 예산이 확보되면
국제
공동연구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설탕 대신 카카오 껍질…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설탕의 단 맛을 대체할 수 있는 겔(젤)을 만들고 연구 결과를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푸드'에 발표했다. 초콜릿은 카카오 열매의 씨앗인 카카오빈(코코아빈)으로 만든다. 카카오빈을 열풍으로 볶아 외피를 분리한 뒤 으깨어 반죽을 만들고 여기에 설탕, 우유, 버터 등을 섞어 ... ...
돼지 간 이식 환자, 2주 넘게 생존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MGH) 교수는 "장기가 거부반응을 겪고 있다면 이런 좋은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전했다. 병원 측은 수술 경과에 대한 대다수 세부사항은 발표하지 않았지만 이식수술을 집도한 쑨베이청 한우이의대 제1부속병원 교수는 "환자는 매우 좋은 상태"고 설명했다. ... ...
'좋지 않다'가 '나쁘다'를 뜻하진 않는다…美 연구진, 실험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not)을 붙인 부정문의 의미를 우리 뇌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3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우리 뇌에서 부정문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최신 인공신경망은 언어를 처리할 때 부정문의 영향에 둔감해 인간 뇌에서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해리 밸런타인 스위스 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우주 및 행성 과학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겉은 얼음이고 내부는 암석인 직경 730km 가량의 충돌체가 반고체 상태의 명왕성에 시속 6km의 느린 속도로 비스듬히(15~30°) 충돌했을 때 지금과 같은 지형이 생성될 수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작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연구결과를 30일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이 신경세포는 공기압력의 세기에 따라 물체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신체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사불란하게 활동하는 신경세포의 움직임은 마치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율주행 차량 위한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기능을 합친 하이브리드 비전 칩 '티안무크'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29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티안무크는 인간의 눈이 시각 정보를 인지할 때 서로 다른 시각세포가 정보 처리를 분담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사물의 움직임만을 빠르게 인식하는 기능과 시각 정보를 높은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를 안정화하고 성능을 더 강화해야 하는 과제가 있기 때문이다. 3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보도를 통해 새로운 전망을 내놨다. 전 세계 양자컴퓨터 개발 경쟁을 집중 소개하며 양자컴퓨터가 신약을 개발하는 데 쓰이는 미래를 예측했다. 기존의 컴퓨터는 정보 처리 단위인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