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산"(으)로 총 3,0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영챌린지 2017’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7.11.27
-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나노선을 이용해 3차원 저항 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었다. 사람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 ...
- 경주, 포항 다음은 경주-포항 사이 지역 지진 가능성 높아동아사이언스 l2017.11.24
- 모여 포항 지진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왼쪽부터 장찬동 충남대 교수, 김광희 부산대 교수, 이진한 고려대 교수, 강태섭 부경대 교수, 홍태경 연세대 교수.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포항 지열발전소 논란에 대한 토론도 있었다. 지열발전소에서 지하로 주입한 물(유체 ... ...
- 지진 대비하려면 ‘해저 단층’ 파악해야동아사이언스 l2017.11.24
-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울진 부근에서 시작해 포항 서쪽과 경주를 지나 양산을 거쳐 부산 서쪽으로 지나간다고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단층이 어디까지 뻗어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해저 역시 육지와 마찬가지로 지하에 지층과 단층을 갖고 있는 만큼 양산 단층이 해저면까지 길게 뻗어 있을 ... ...
- 트럼프는 폐지하고, 한국은 지키는 망중립성... 당신의 생각은?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11.23
- 콘텐츠 회사들은 돈을 더 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철도로 예를 들어 볼까요. 지난 주 부산에서 국내 최대 게임쇼인 지스타 2017이 열렸습니다. 지스타 기간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기차를 타고 지스타에 참석합니다. 그러다보니 KTX가 만석이 됐다고 가정해봅시다. 기차 좌석은 한정돼 있는데 지스타 ... ...
- 누가 생각했을까? 친환경 수소 대량생산의 핵심 '스폰지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7.11.22
- 미래 에너지원으로 꼽히는 수소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개발됐다. 김용태 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와 네나드 마르코비치 미국 아르곤국립연구소 박사팀은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때 소비 전력은 줄이고 생산 효율은 높이는 새로운 전극 구조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 ...
- 드론,보디캠... 공공안전 지킴이로 명 받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1
- 인공지능(AI) 기능을 접목한 ‘세이프티 드론’을 통해 조난자를 식별하는 시연을 부산에서 했다. 또 재난 재해 상황에서 기지국의 핵심 장비를 초소형으로 만들어 드론에 탑재해 통신을 지원하는 ‘드론 LTE’ 솔루션도 개발했다. 지난달 국내 최초로 LTE 드론 관제 시스템 시연에 성공한 LG유플러스도 ... ...
- 지반이 물렁물렁, 내진설계 무력화시키는 액상화 100여 곳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7.11.20
- 액상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부산과 울산 지역이 여기에 속한다. 19일 손문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팀은 “포항 진앙 주변 2㎞ 반경에서 흙탕물이 분출된 지반 액상화의 흔적 100여 곳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아직 확인되지 않은 지반 액상화 지역이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 ...
- [테마가 있는 영화] ‘7호실’ 감독의 데뷔작, ‘10분’2017.11.17
- 관객 수는 3000 명 남짓이었다. 그러나 폭발적인 에너지를 품고 있는 ‘10분’은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KNN 관객상, 국제영화평론가 협회상을 수상했고 해외 영화제에서도 호평을 받아 이용승 감독의 가능성을 발견한 작품이다. 이용승 감독은 ‘7호실’에서도 전작에서 보여준 날 선 현실감각을 ... ...
- (상보) 포항에 역대 두 번째 강한 지진… 경주지진보다 진원 얕아 피해 우려동아사이언스 l2017.11.15
- 관측계에서 진동이 관측됐으며, 최대 진도(지표면에서 감지되는 진동)는 6.0으로 포항과 부산 지역에서 이처럼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진도 2.0 이상이 감지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P파보다 S파가 많은 전형적인 자연 지진”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포항지진은 경주지진의 여진이 아닌 별개의 ... ...
- “신재생에너지 확대하려고 원전 없앨 필요는 없어”동아사이언스 l2017.11.08
- 어렵다”라며 “가령 고리 지역 10GW(기가와트)의 원전 단지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려면 부산과 울산을 합친 면적의 80%(1459㎢)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태양광 30GW, 50GW를 설치할 공간이 이미 국내엔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2015년 기준 총 발전량의 약 60%를 ... ...
이전2202212222232242252262272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