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도 이젠 우주왕복선 보유국…미·러 이어 세 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값싼 운송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만 밝혔다. 다만 중국 우주선의 임무와
크기
, 형태 등 자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중국 정부는 발사와 성공 여부만 밝혔을 뿐 아무런 영상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군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발사한 우주선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외래 동식물 침입에 뒤섞이는 전세계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수는 원
크기
로 표시했고, 다른 지역과의 유사성은 두 지역 사이의 선으로 묘사했다. 원
크기
와 선 굵기는 종 또는 관계의 수가 많음을 의미한다. 왼쪽은 외래종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고 오른쪽은 포함한 경우다. 외래종이 많아지면 전세계에 비슷한 종 또는 동식물 관계가 널리 퍼지며, 이는 세계의 ... ...
한여름 펄펄 끓는 자동차 안 전기 안 쓰고 식혀줄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5
넓은 면적으로 제작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들어갔다. 현재는 어른 손바닥
크기
의 소재를 개발해 실험 중이다 또 송 교수는 “지금은 딱딱한 석영을 기판으로 썼지만, 휘어지는 소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이용해 롤 방식 공정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아주 높다. 광견병의 병원체는 세균이 아니라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훨씬
크기
가 작다. 광견병 바이러스를 발견한 것은 1932년이었다. 그러니까 파스퇴르는 현미경으로도 보이지 않던 정체불명의 병원체와 싸웠던 것이다. 이 때문에 파스퇴르가 실체도 모르는 병원체를 분리 배양하는 ... ...
단분자 검출하는 나노안테나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있어 서로 상호작용하는 특성이다. 강한 전압으로 빛을 모으려 해도 모을 수 있는 빛의
크기
가 제한된다. 연구팀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미노’ 놀이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방식의 ‘연속 도미노 리소그래피’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빛에 노출되면 화학적 특성이 변하는 ... ...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블랙홀 병합 중력파로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다단계 병합’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마치 눈사람을 만들 때처럼, 작은
크기
의 별질량 블랙홀을 단계적으로 뭉쳐 중간질량 블랙홀을 만들 수 있다는 사례를 적어도 하나 확인했다"며 "이런 식의 생성 방식으로 헐씬 거대한 초대질량블랙홀까지 만들 수 있는지, 아니면 이 방식으로도 ... ...
[인간·공감·AI] ⑥ "바이러스로 바이러스 잡아" 신개념 코로나19 바이러스 탐지 센서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패치형 센서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 패치형 센서는 100원짜리 동전
크기
로 팔뚝에 붙여 사용한다.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을 사용해 센서에 휴대전화를 가져다 대면 붉은색 빛이 깜빡거린다.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됐다는 신호다. 따로 전력이 필요없다. 센서는 곧 ... ...
뉴턴의 실험 노트 온라인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현존하는 기록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가받는 점토판과 17세기 지구와 다른 천체의
크기
를 비교한 삽화, 중국에서 수채화 방식을 이용하 그린 최초의 그림책 등이 공개됐다. 제시카 가드너 케임브리지대 도서관 사서는 “이번 파트너십은 여행할 수 있는 사람이 적은 이때 전 세계 수백만 명의 ... ...
ETRI, 30도 시야각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학회 최고상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이용해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홀로그램 영상 사진이다. 픽셀의
크기
가 작아지면서 정면이 아닌 측면 각도에서도 홀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ETRI 제공 연구팀은 빠르게 구동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소자(DMD)를 공간광변조기로 써 360도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컬러 디지털 홀로그램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활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개발한 컬러필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마이크로미터
크기
의 픽셀을 갖는 컬러프린팅 기술을 구현했다. 실험 결과 IGZO 층의 전하 농도에 따라 색을 임의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소재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고 빠르게 구조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