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련기간
수업 시간
수업시간
d라이브러리
"
공부시간
"(으)로 총 2,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현장에서 익히는 생태계 학습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주변에서 일어나는 자연의 변화를 수시로 수업시간에 끌어들이고 있다.실험·실습 위주로 정립돼미국의 1950년대 후반, 그러니까 '존듀이'의 영향을 받은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폐단을 종식시키기 위한 내부로부터의 욕구가 비등하던 때, 외부로부터의 강한 자극이 도화선이 되어 교육과정에 큰 변화 ... ...
C언어 강좌① 경제적이며 배우기 쉬운 고급언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C언어는 원래 유닉스(UNIX)라는 오퍼레이팅스시팀을 기술하기 위해 개발된 언어였다. 이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UNIX와 비슷한 수준의 오퍼레이팅 시스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C언어는 어셈블리언어에 필적하는 각종 특성을 갖추고 있다.각종 컴퓨터 관련 잡지에 게재되는 프로그램이 C언어로 ... ...
하이테크시대의 신종병 테크노스트레스의 정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눈을 피곤하게 하는 터미널,사무자동화 등 직장과 가정을 파고드는 컴퓨터가 미국ㆍ일본 등지에서 인간을 새로운 병에 시달리게 하고 있다. 그 정체가 어떤 것인가 정리해 본다. 테크노 스트레스라는 말은 지난84년1월 미국의 정신과 의사'클레인브 브로트'씨가 '테크노스트레스'라는 책을 써낸데 ... ...
BASIC강좌 마지막회 베이직은 PC 정복의 필요조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최근 컴퓨터의 발달과 보급으로 인해 컴퓨터문화는 질과 양의 양쪽면에서 변화를 시작하고 있다. 대형컴퓨터의 기능들이 갈수록 퍼스널 컴퓨터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어서 컴퓨터의 대중화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초기의 퍼스널컴퓨터에서 사용되었던 BASIC 언어도 이제 그 기능이 다양해져서 개발 ... ...
내가 쓰는 컴퓨터 밤새워 씨름하는 기쁨 컴퓨터를 알면 알수록 그 활용은 늘어만 간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내가 컴퓨터를 사용한 지 약5년이 지난 것 같다. 처음 컴퓨터를 시작한 동기는 순수한 호기심과 취미였으나 지금은 생활의 중요한 한부분이 되어버렸다. 집에서는 물론 사무실에서도 일과중의 상당한 몫을 차지한다. 물론 그동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무슨 대단한 성과를 올렸다든지 혹은 소프트웨어 ... ...
PC교실⑬ 학급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학습한 결과를 적어 넣는다. 예를 들어 87년 8월 11일에 공부한 과목과 계획 및 실제의
공부시간
이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결과는 (그림5)처럼 나타나며 자료는 모두 디스켓(diskette)내부에 파일(file)로 작성되어서 보관된다. 이 화면의 '충실도'는 '계획'에 대한 '학습'의 비율이다. 즉 몇 %정도 ... ...
휴식·건강센터로 병원을 찾는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컴퓨터와 로보트가 움직이는 미래의 병원은 공포없는 편안하고 친숙한 장소가 될 것이다. 에어로빅 댄스 강습이 이제 막 끝나려고 한다. 30분 뒤에는 이 방이 강의실로 쓰일 것이다. 2019년 7월 20일 저녁의 강의는 '건강을 위한 식이요법'에 관한 것이다. 2층에서는 새로 입원한 2쌍의 늙은 부부가 신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미국의 H.A.슈레이더 박사와 영국의 J.N.모리스 박사, 스웨덴 카로린스카 연구소의 G.비오르크 박사는 칼슘이 많은 물을 마시는 사람의 심장병질환 사망이 적다는 사실을 규명, 건강에 좋고 맛이 좋은 물의 정체도 알아냈다. 물맛의 정체 흔히 말하지만 인간의 몸은 약70%가 수분이다. 그리고 매일 2.5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천연원료에서 인공합성에 이르기까지 산·알칼리 공업의 발자취는 바로 근대화학공업 발달의 역사였다. 산을 영어로 'Acid'라 한다. 이 말은 라틴어의 '시큼하다 Acidus'에서 유래한다. 고대 연금술사들이 알고 있었던 산은 식초나 과일즙 뿐이었다. 그러나 중세 아라비아 연금술사 '게버'(약 721~약 815) ... ...
교사들의 경험이야기 누가 훌륭한 과학자가 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과학서적도 읽고 글로 표현해보자 박-오늘 좌담의 주제는 어떤 학생이 나중에 과학자로서 성공할 수 있겠느냐는 것입니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볼까 합니다. 저 자신도 20여년간 교단에서 물리를 가르치고 있읍니다만, 어떤 학생이 훌륭한 과학자가 되더라는 딱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