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고정익이나 회전익, 플래핑을 합친 새로운 형태도 연구중이다.고정익 초소형 무인기는
일반
항공기와 가장 유사하다. 그러나 무게나 크기는 놀랍도록 작다.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초소형 무인기 ‘와습(WASP, 미국 에어로바이론먼트사 개발)’은 무게 430g에 날개 길이가 72cm다. 와습은 개인이 ... ...
물질파로 시간·질량 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빨라서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뮬러 교수는 2년 전 원자 간섭계로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증명했던 실험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원자 간섭계는 원자의 물질파가 만드는 간섭작용을 이용해 정밀한 측정을 하는 데 쓰는 장치다.뮬러 교수는 아인슈타인의 쌍둥이 패러독스를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유럽인이 도착한 18세기까지 호주는 외부와 아무런 접촉이 없었다는 게 과학자들의
일반
적인 견해였다. 그런데 약 4000년 전 인도인들이 호주로 이주한 것으로 유전자 연구 결과 밝혀졌다. 호주 대륙은 인류 역사에서 격리된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1월 14일자에 실렸다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초고층 빌딩을 설계할 때 안전성을 어떻게 확보할까.
일반
적으로 층간 불연화 구역을 만든다. 엘리베이터도 구획화한다. 저층용, 고층용 엘리베이터로 나눠 중간에 화재가 나더라도 지상으로 또는 건물 꼭대기를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그런데 미처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는 ‘눈’은 어떤 눈일까. 날이 따뜻해져서 녹지 않는다면
일반
적으로 함박눈으로 대표되는 습설이 사람들이 좋아하는 눈이다. 습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눈을 뭉쳤을 때 눈 사이의 빈 공간을 습기가 메운 뒤 다시 얼어 눈이 잘 뭉쳐지기 때문이다. 영하 10℃ 이하에서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성간 가스가 수축하면서 생긴다. 갈색왜성은 생성과정이 별과 동일하지만 질량이 모자라
일반
적인 별이 되는데 실패한 천체다. 행성은 별 주위에 남은 물질이 뭉쳐서 생긴다. 큰 질량이 수축해서 만들어진 별과 달리 행성은 작은 질량이 뭉쳐서 자란 결과다.즉, 질량이 비슷하다 해도 갈색왜성과 ... ...
'레버 휠체어' 어떤 지형에서도 달린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잘 이용하면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죠.실제로 이런 간단한 원리로 만들어진 LFC는
일반
형 휠체어보다 속도가 평균 75% 향상됐고요. 추진력도 50%나 크답니다.과동이> 지금 인터넷에 찾아보니 이 휠체어는 바퀴를 비롯한 각종 부품을 해당 국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전거에서 가져왔대요.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아마도 동성애자였던 그가 혼돈과 세상의 핍박을 감당하지 못해 자살했다는 추측이
일반
적이다.그가 더 오래 살아 그의 대담한 꿈을 펼쳤더라면, 인공 지능의 문제에 큰 진전을 이루었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아마 그랬더라면 20세기 문명의 모습이 달라졌을지도 모르겠다.만약 컴퓨터가 인간을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차복 서울대 국토문제연구소 연구원은 “중력의 등포텐셜면을 기준으로 삼는 게
일반
적”이라고 설명했다. 중력이 어떤 일정한 값을 지니는 점을 이으면 가상의 구를 만들 수 있는데, 이 구의 표면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다. 지구의 해수면도 중력 등 포텐셜면과 거의 비슷하다. 화성의 경우 이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흙과 같은 이음새를 넣지 않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고 동결에도 잘 무너지지 않는다.
일반
적으로 방범이나 구획을 나누는 역할을 돌각담이 맡고 있지만 이러한 역할은 외암마을 돌담에게는 그다지 의미없어 보인다. 돌이 많은 지질학적 악조건을 폭이 넓은 돌각담으로 극복하는 동시에 현재 마을의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