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시 0.01μ 즉 10nm수준에 이르면 양자효과가 주가 된다. 또 셀의 크기가 이 정도 작아
지면
지금의 모스펫(MOSFET)구조로 동작이 가능한지도 확신할 수가 없다. 그러나 양자효과가 주가되는 영역에서는 그 구조가 지금과 다를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과학자들은 이미에 피성장, 전자선 리소그래피 등의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때문이다. 자동차 배기가스에도 오존이 포함돼 있는데 이로 인해 대기에 오존량이 많아
지면
불쾌지수가 높아질뿐더러 호흡기관에 상당히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그렇다면 우리 주변에는 오존이 어디에 얼마만큼 있는 것일까. 지구 대기에는 이주 적은 비율로 오존이 분포하고 있다. 질소나 산소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물고 늘어지고 이때 수컷의 정자가 암컷 체강 속으로 빨려 들어 간다. 수정란이 만들어
지면
곧 휘어감긴 압력과 알의 팽창으로 몸벽이 파열되면서 체외로 방출돼 플랑크톤의 유생시기로 들어간다. 고감도 센서적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가장 발달된 것이 안점이다. 대개 1~15쌍 정도를 갖고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거북 등이 해를 면했을 수 있는 정도의 한냉화에도 체온조절 능력이 아직 원시적이던 육
지면
의 공룡은 치명타를 받았을 수 있다.생물의 치명적 과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제안돼 있다. ① 순간적 열파(熱波)로 데어 죽는다. ② 지속적 흑암과 추위(9℃쯤 내려감)로 장기간 최대의 피해를 입는다. ③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별 중심의 물리학을 주도하게 된다. 높은 밀도하에서 전자들간의 평균 거리가 너무 짧아
지면
별의 중심 부분에는 축퇴압력이라고 하는 새로운 종류의 압력이 등장한다. 축퇴압력은 만원인 지하철안에서 우리가 받는 압력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지하철 안에서 우리가 받는 압력은 오로지 열차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오래 전에 발표한 바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그 논문들 가운데 몇 군데를 추려서
지면
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서술하고자 한다.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과학사가인 조셉 니담은 '중국과학사'에서 "감촉할 수 있는 물질로 응축된 기(氣)는 어떤 중요한 의미에서 단순한 개별적인 것이 아니고,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북극곰과 함께 북극탐험에 가장 무서운 장애물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해빙 틈으로 빠
지면
거의 틀림없이 바다에 떨어지기 때문이다. 북빙양의 빙산은 바다가 얼거나 주위의 육지에서 흘러내리던 물이 얼어 남극의 탁상형 빙산과는 달리 뾰족하거나 불규칙적인 첨탑형 내지 산악형 빙산이 대부분이다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1945년 천연 제올라이트중의 하나인 카바자이트(chabazite)가 가스를 흡착한다는 사실이 알려
지면
서 제올라이트가 매우 유용한 물질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왔다.그후 미국의 유니온카바이드사(社)에서 천연에 존재하지 않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기 시작, 1950년대에는 많은 종류의 ... ...
환태평양 인공지능 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김진형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신경망 이론도 대상이 간단한 경우에는 탁월한 효과가 있지만 문제가 조금만 복잡해
지면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이론으로 변한다. 따라서 하나의 방법론으로 인공지능을 완성하려는 것은 금방 한계에 부딪치고 만다는 것이다.이와 관련 그는 '방법론' 보다 '다루는 문제'를 더 중시하는 새로운 흐름에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제6차 고등학교교과서 개편작업에서 생물교과서의 경우 분류분야가 지금보다 더 많은
지면
을 차지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분류가 생물교과서의 절반을 점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실제로 분류 안에서 생리도 생식도 유전도 가르칠 수 있어요.셋째는 중고등학교 생물교사들이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