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보통 실내는 밝은 곳도 있지만, 그림자가 생겨 어두운 곳도 있다. HDR은 이런 밝기의
차이
를 파악해 상점 내부가 모두 뚜렷하게 보이도록 만든다.증강현실로 쉽게 길 찾는다구글의 스트리뷰에서는 증강현실도 경험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과 가상현실을 혼합한 상태를 말한다. 스트리트뷰에서 내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폰 노이만도 마찬가지였다. 노이만은 당시의 이론을 바탕으로 뇌와 컴퓨터의 유사성과
차이
점을 탐구했다.그렇다면 뇌도 일종의 컴퓨터라 할 수 있지 않을까. 1943년 신경생리학자 워렌 매컬럭과 월터 피츠는 ‘신경 활동에 내재한 논리 계산법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 ...
거짓말 탐지 MRI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치면 CPU와 같은 부위다.하지만 거짓말을 할 때 반응하는 뇌 부위는 사람마다 조금씩
차이
가 있다. 따라서 뇌공학자들은 사람마다 진실을 말할 때와 거짓말을 말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준을 세운 후 측정하기로 했다.방법은 간단하다. 대상자에게 미리 답을 주고 질문을 한다. 한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연구팀도 참여해 해부학적 특징을 분석했는데, 이 종이 직립보행을 했으며 몸집
차이
가 작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렇다면 러브조이의 학설은 맞는 것일까요.[사람은 유인원과 달리 남자가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러브조이는 틀렸다?러브조이 학설은 사회적으로 엄청난 반응을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 방법은 기능을 알고 싶은 유전자가 제거된 개체와 정상 개체의
차이
를 비교하는 것이다.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은 바로 이렇게 원하는 유전자만을 제거해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는 기술이다. 유전자 적중을 이용하면 한 유전자를 다른 유전자로 바꿀 수 있는데, 이때 ... ...
Part1. 뇌 vs 컴퓨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덕분에 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
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드웨어 측면에서 뇌와 컴퓨터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뇌에도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게 밝혀졌다. 뉴런 외부와 내부에 있는 여러 이온의 농도
차이
로 세포막은 -70mV의 전압
차이
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외부의 자극이 들어오면 세포막에 붙어 있는 이온채널이 표면을 따라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면서 전기신호가 발생하고 전달된다. 신경계는 이런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1863년 프랑스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월 때 찍은 뇌의 영상에서 백질 여러 영역에서
차이
를 확인했다. 울프 박사팀은 이번에
차이
를 보인 뇌의 영역을 조사해 보다 근본적인 자폐증 치료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만 5150종이 살았지만 바다에서는 1만 4740종밖에 없었다. 멸종하는 비율은 거의
차이
가 없었다. 바다가 넓다고 꼭 생물 번성에 유리하지는 않다는 뜻이다.연구팀은 현재 남아 있는 바다 종들은 모두 육상 종에서 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바다 생물 종의 대규모 멸종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더 센 힘이 필요했다. 그래서 힘 센 장사나 어린 아이나 종이를 구겼을 때 나온 결과가 별
차이
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도자기 그릇처럼 깨지지 쉬운 것을 포장할 때 사이사이에 구긴 신문지를 끼어 넣어 충격을 줄이는 일은 아주 현명하다.구겨진 종이가 얼마나 단단한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