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뇌 vs 컴퓨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덕분에 뇌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컴퓨터도 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해낸다. 이 둘의
차이
는 어디서 오는 걸까. 하드웨어 측면에서 뇌와 컴퓨터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뇌Part1. 뇌 vs 컴퓨터Part2. 인공 뇌 만들기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Part4. 인공 뇌에도 ...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만 5150종이 살았지만 바다에서는 1만 4740종밖에 없었다. 멸종하는 비율은 거의
차이
가 없었다. 바다가 넓다고 꼭 생물 번성에 유리하지는 않다는 뜻이다.연구팀은 현재 남아 있는 바다 종들은 모두 육상 종에서 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바다 생물 종의 대규모 멸종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 ...
세계 유명 미술관 수학으로 미리 가 본다!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보통 실내는 밝은 곳도 있지만, 그림자가 생겨 어두운 곳도 있다. HDR은 이런 밝기의
차이
를 파악해 상점 내부가 모두 뚜렷하게 보이도록 만든다.증강현실로 쉽게 길 찾는다구글의 스트리뷰에서는 증강현실도 경험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과 가상현실을 혼합한 상태를 말한다. 스트리트뷰에서 내 ... ...
복잡한 입시, 자연계 논술로 극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첫 번째 전략은 역시 구술면접이나 논술시험이다. 자연계 구술면접이나 논술시험은 큰
차이
가 없다. 수학·과학 문제를 짧은 시간동안 면접관 앞에서 말로 설명하면서 풀면 구술면접, 더 긴 시간동안 글로 풀어내는 것은 논술이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최상위권 대학에서 구술면접이나 ... ...
Part2. 세균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심지어 병도 옮긴다. 그녀는 그동안 수천 개의 침대를 조사했다. 침대나 매트릭스에 따라
차이
는 컸지만 아무 것도 발견되지 않은 침대는 없었다고 말한다. 그는 “사람이 흘리는 1.5g의 각질로도 이 벌레들이 몇 년 동안 살아가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보건위생을 위해서라면! 변기도 샅샅이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더 센 힘이 필요했다. 그래서 힘 센 장사나 어린 아이나 종이를 구겼을 때 나온 결과가 별
차이
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도자기 그릇처럼 깨지지 쉬운 것을 포장할 때 사이사이에 구긴 신문지를 끼어 넣어 충격을 줄이는 일은 아주 현명하다.구겨진 종이가 얼마나 단단한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 ...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간도 급격히 늘어나 오히려 성장론자보다 사귀는 기간이 길어졌습니다. 헤어질 때도
차이
가 있었습니다. 운명론자는 헤어지고 난 뒤에 그 만남이 처음부터 잘못됐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서로 노력을 게을리했다는 사실도 인정하기 싫어했지요. 반대로 성장론자는 헤어진 뒤에도 더 ... ...
성공도 실패도 모두 노력의 흔적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등급을 만들어 놓고 기타 과목을 잡아가는 두 번째 방법을 택했습니다. 과목마다
차이
는 좀 있지만 전체 평균 1.4등급 정도는 나왔어요.”3학년 때 학력평가 백분위는 꾸준히 99.9x%를 받았다. 성적표는 서울대에 첨부서류로도 제출했다. 올림피아드 준비는 1학년에 끝내라대환 군에게도 좌절의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내이에는 소리감각 외에도 몸의 균형을 감지하는 전정기관과 세반고리관, 외부와의 압력
차이
를 감지하고 조절하는 유스타키오관이 있다.다른 동물의 소리를 듣는 능력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제한돼있다. 너무 미약한 진동은 고막을 떨리게 할 수 없고 너무 강한 진동은 고막에 심한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폰 노이만도 마찬가지였다. 노이만은 당시의 이론을 바탕으로 뇌와 컴퓨터의 유사성과
차이
점을 탐구했다.그렇다면 뇌도 일종의 컴퓨터라 할 수 있지 않을까. 1943년 신경생리학자 워렌 매컬럭과 월터 피츠는 ‘신경 활동에 내재한 논리 계산법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