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스페셜
"
직접
"(으)로 총 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2,3년 전 중소기업청에서 관련법을 마련해 연구소 기업을 만들어 투자도 받고 연구원이
직접
사업에 나서는 환경을 만들었다”며 “그러나 어떤 이유에선지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의성 강조된 연구 육성 필요한 때” 2002년부터 8년째 21세기 프론티어사업단이라는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유전체를 해독하는 연구가 필요해요.” 이번에 해독한 유전체는 김 원장 자신의 것이다.
직접
피를 뽑아 연구를 진행했다. 지금까지 세계에서는 총 4명의 개인 유전체 해독 연구가 공개됐다(실명을 공개한 사람 기준임). 이들은 미국과 중국의 과학자로 자신의 피를 연구에 사용했다. 일반인들은 아직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독자와 과학기술계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생생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기획해 나갈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KAIST 유일의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
KAIST
l
2013.04.30
전문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허리케인 선수들은 각자 의 고등학교 동문 팀 등에서
직접
선수로 대회에 참여하며 매니저들 역시 자신의 팀을 응원하게 된다. ★KAIST-POSTECH 학생대제전 KAIST와 포스텍(이하 카포전)의 자존심을 건 대결, 매년 가을 열리는 카포전 경기의 축구 대표 팀 선수로 출전할 수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특히 먹거리, 원자력 등 국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사안과
직접
적으로 연관됐기 때문에 향후 미래창조과학부에 대한 국민여론에 큰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성공적인 운영을 통해 국민들의 신뢰도를 얻는다면 미래창조과학부의 위상도 그만큼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
KAIST
l
2013.04.29
드로잉,도자기공예 체험과 같은 행사가 진행되었다. 또, 이곳에서 구매한 선글라스를
직접
꾸며 쓰고 자신의 개성을 뽐내는 사람들도 만나볼 수 있었다. 잔디밭에서는 폴라로이드 이벤트도 진행되어 무료로 추억을 담아갈 수도 있었다.점심 식사 후 잔디밭을 벗어나 노천극장으로 발걸음을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사실을 안 뒤로는 생명연과 협력해서 대학원 과정을 신설했다. 생명연에 가서
직접
훈련을 받은 뒤 학교로 와서 논문을 쓰고 학위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수많은 정책들이 바이오 분야의 인재 양성을 강조했지만 제대로 된 실천방안은 내놓지 못했습니다. 저희 대학이 산학연 협력을 통해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내보냄으로써 청각 정보를 줄 수 있다. 반면 후각과 미각은 해당 감각을 주는 분자가
직접
감각기관인 코와 혀에 도달해 자극을 줘야 하는 화학적 감각이므로 컴퓨터가 이런 정보를 준다는 건 애당초 불가능한 얘기다. 이번 해프닝을 고백한 김에 후각 메커니즘 관련해서 얼마 전 발표된 논문 한 편을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상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던 TDMA보다 CDMA에 비중을 두어 설명하고 이어 살마시 부사장이
직접
퀄컴과 CDMA에 대해 설명하자 세미나장의 연구원들은 CDMA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했다. 퀄컴이 제이콥스와 비터비의 회사라는 사실이 알고 난 후에는 아예 CDMA에 큰 기대를 거는 사람도 있었다. 이 방문으로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교수의 실험실에 들어갔다. 진더보다 세 살 연상인 레더버그는 1946년 대장균이 서로
직접
접촉해 유전자를 교환하는 현상인 ‘접합(conjugation)’을 발견했고 이듬해 위스콘신대에 부임했다. 진더는 살모넬라를 대상으로 비슷한 현상을 찾다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바이러스, 즉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