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국
국제
타국
이국
국외
세계
인터내셔널
스페셜
"
해외
"(으)로 총 2,274건 검색되었습니다.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배양해야 하는 등 생산 공정이 복잡해 1mg에 100만원 정도로 가격이 비쌌다. 특히 대부분
해외
특허로 등록돼 있어 신약 개발에 활용하려면 로열티 부담도 컸다. 김학성 교수는 “우리나라 의약 산업이 특허가 만료된 항체 의약품을 복제하는 바이오 시밀러에 집중하고 있지만 단백질 신약 분야에선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등에서 쌓아온 생명과학분야 기초과학 연구실력은 결코 국제 수준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해외
유명저널에 이름을 올리지 않는 날이 없다”면서 “오송 센터에선 이런 국가적 역량을 ‘산업’으로 바꿔내는 ‘사업화 역량’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기존 연구기관도 사업화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것이 중요합니다. 중소기업도
해외
진출을 생각하는 순간부터 특허 대응전략을 갖고
해외
로 나서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 위원장은 연구 성과가 쏟아져 나오는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에 대해서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막대한 예산을 국가 R&D에 투자하고 있는데 지식재산은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를 강조했다. ● “한국 바이오산업은 정부 지원으로 가속화”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해외
에 나갔던 연구자들이 1995년부터 국내에 대거 들어오며 서서히 발전했습니다. 여기에 가속페달을 단 것이 정부의 지원이죠. 정부는 2000년부터 기초연구에 대한 연구비를 대폭 지원하고 연구결과를 산업으로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미국 바이오산업계에서 경험이 풍부한 민현석 변호사는 “당장 한국 기업들이 우수한
해외
디벨로퍼를 물색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면서 “먼저 개별 연락을 취하고 미팅을 잡으려 노력하는 한국 기업도 있다. 그보다는 연구성과를 내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어차피 디벨로퍼들은 전 세계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꼭!’ △독립된 연구자로 홀로 서기 위한 박사후연구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해외
한인 과학자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박상원 회장은 - 1996년~2000년 고려대 생명과학부 학사 - 2000년~2002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석사 - 2002년~2007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박사 - 2008년~현재 미국 하버드대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시장에서 경쟁하려면 M&A로 기업 덩치 키워야” 한국 바이오가 산업화를 이루고
해외
시장에 진출하려면 기업 규모를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는 국내에서 열렸던 전문가 좌담회에서 수차례 언급됐던 내용이다. 미국 바이오 전문가가 보기에도 의견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재규 박사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경우도 있다. 행사를 좁게 보는 거다. 자기 회사와 관련된 사람들만 만나거나, 그저
해외
유명 기업을 보며 감탄만 한다. BIO에서 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해서 파악해야 할 대상이다. 예를 들어 행사장 곳곳에서 열리는 바이오 관련 법률이나 제도를 주제로 한 패널 토의,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부총리, 세계 10대 제약사 임원들이 차례로 들러 눈길을 끌었다. 삼성의 등장은
해외
바이오 업계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부스에서 바이오 업계 인사들과 환담하는 김태한 대표이사(왼쪽에서 두번째)워싱턴=서영표 동아사이언스 기자 sypyo@donga.com 현병환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출원, 등록을 이뤄냈다. 그가 운영했던 ‘식물추출은행’에는 현재 국내 식물 2000여 종,
해외
식물 1만여 종이 있다. 이렇게 얻은 식물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신약 개발 사업도 진행했다. 한 과학자에게 단장을 맡기고 연구비 집행 등 과학자가 일괄 진행하는 체제를 도입해 10년간 장기 지원한 ... ...
이전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