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쿠스코 근처에 갔어요. ‘모라이(오른쪽)’는 잉카의 농경연구소라고 할 수 있는 곳으로,
꼭
UFO 착륙장 처럼 신기하게 생겼어요. 여기에서는 농작물을 몇 년에 한 번씩 위층으로 옮겨 키웠어요. 사람이 사는 높은 산 위에서 식물이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지요. 식물이 자연 환경에 따라 ... ...
늦잠 마녀를 물리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방해하는 나쁜 생활습관들이에요. 혹시 하나라도 해당하는 게 있나요? 그렇다면
꼭
버리세요! . 잠자는 시간이 불규칙적이다. . 일찍 잠자리에 들고, 늦게까지 잠을 잔다. . 밤에 늦게 자고 아침에 더 오래 누워 있는다. . 낮에 낮잠을 자거나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신다. . 낮에 햇빛을 거의 보지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건강 상태를 검사한다. 렌즈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았는지, 모양이 변하지 않았는지도
꼭
점검해야 할 부분이다. 렌즈의 수명은 2년 내외다.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각막굴절교정술 렌즈가 장기적으로 난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렌즈가 중심에서 살짝 빗겨난 상태로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자료와의 싸움과도 같습니다.” 이어 그는 “해외에 비해 국내에는 유해 발굴과 감식에
꼭
필요한 법의학과 체질인류학을 전공한 기초과학자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며 “우리 시대의 진정한 실사구시(實事求是)는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박 단장은 마지막으로 “전사자 유해를 가족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상태에서만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업적’이라고 지칭했다. 그는 이 책에서 “죽음이
꼭
지루한 일만은 아니다”라며 “바닥에 등을 붙이고 누운 채 썩어가는 현상 역시 흥미롭지만 시체가 된 상태에서도 해볼 만한 일이 많다”는 익살맞고도 ‘희망적인’ 메시지를 던졌다.이정아 기자 zzunga@donga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해본 게 없어요. 봉사활동도 학교에서만 했고요.” “내신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은
꼭
많은 시간을 들여 봉사활동한 이력을 보여줘야 되는 건 아니야. 대신에 인류를 위해서 일할 수 있는 마인드를 갖고 있는지, 사회의 약자들에게도 시선을 보낼 수 있을 만큼의 인성을 갖고 있는지, 최소한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우리 반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친구도 우리 학교 얼짱이었어요. - 박상현 명예기자저는
꼭
얼굴이 예쁘거나 잘생기지 않아도 늘 기분 좋은 표정을 짓고, 잘 웃는 친구가 좋아요. 남을 때리거나 공격하는 친구는 멀리하게 되고요. - 이예빈 명예기자하는 말마다 재치가 넘쳐서 개그본능이 넘치는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법이 없나 봐요. 수학이 증명한 최고의 모양식물에 있는 피보나치 수열을 확인하기 위해
꼭
하늘에서 내려다봐야 하는 건 아니에요. 눈높이로 자라는 해바라기 속에도 있거든요. 해바라기는 꽃 안쪽에 씨앗이 가득 박혀 있어요. 씨앗은 한가운데서 시작해 각각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선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문제를 해결해요. 그래서 저처럼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수학자 친구 한두 명쯤은
꼭
알고 있어야 하죠. 나라에 어떤 문제가 닥칠지 모르니까요.루카스가 제안하는 미로 탈출 전략➊ 막다른 길이 나올 수 있으니 끊임없이 앞에 뭐가 있는지 생각하며 걷는다. 만약 막다른 길에 도착했다면 바로 앞 ... ...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습이
꼭
닮아서 사람은 구분하기 어려운 물고기라도 물고기들은 서로를 금세 알아볼 수 있어요. 그 이유는 서로의 얼굴에 서 반사된 자외선 무늬를 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지벡 교수 연구팀은 이 사실을 밝혀 내기 위해 실험을 했어요. 자리돔이 든 수조에 자리돔을 닮은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