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초여름 날, 이른 아침부터 울산행 KTX에 몸을 실었다. 목적지는 남쪽 끝자락 바닷가 도시에 자리한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2009년 첫 신입생을 받은 이래 꾸준히 성장해 나가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교다.KTX울산역에서 약 10분 거리에 있는 UNIST. 정문에 들어서자 널찍한 광장과 녹음으로 가득한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륙선의 연료로 쓰기위해 저장했다.2036년 6월 15일. 드디어 임무를 마치고 다시 이륙하는 날이다. 우리 9명이 탑승하자 10t의 액체산소와 5t의 메탄이 이륙선에 주입됐다. 화성궤도에 있는 사령선과 교신해 둘이 화성 200km 상공에서 도킹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했다. 이번 화성탐사에서 가장 위험하고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물 질이 뭉쳐 작은 위성의 씨앗이 태어날 수 있으며, 이것이 점점 밖으로 밀려날 거라고 예측했다.전문가들은 아직 조심스럽다.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 사학과 연구원은 “지금 새로 탄생하고 있는 위성인지, 존재하던 위성이 지금에야 발견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최영준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열렸고,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개최되기는 처음이다. 행사는 14일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후 2시까지 24시간 동안 진행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서울숲의 식물, 곤충, 버섯, 조류 등을 관찰하고 탐사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서울숲의 변천사 등 인문학적인 주제를 다루는 교육도 준비돼있다. 숲과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연 해리 포터의 투명망토를 현실에서 볼 수 있는 날이 올까. 층층이 쌓인 난제를 듣고 보니 진짜 투명망토는 백일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김 교수의 다짐은 달랐다. “이번에 개발된 재료는 투명망토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도 없던 소재라고 할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우리약초 이야기수라간에서 찾은 에코푸드문의_ (041) 950-5300국립생태원에서 6월에 만날 수 있는 야생화1. 금낭화 : 꽃이 매우 아름다워 ‘아름다운 주머니를 닮은 꽃’이란 뜻을 가졌다. 종자에 붙은 ‘엘라이오솜’이 개미를 유혹하여 개미를 통해 종자가 번식된다.2. 산마늘 : 지리산, 설악산 및 ... ...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그림으로 그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3 게임 스토리 짜기이제 이 게임을 하는 목적이 들어날 수 있도록 게임의 스토리를 재미있게 짠다. 게임의 제목을 붙이고, 게임을 할 대상의 연령을 정해 준다. 그리고 게임의 각 단계별 난이도를 정해 준다. 예를 들면 게임은 총 70단계까지 있는데, 난이도 하가 3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언젠가 정말 영화처럼 나노입자를 주사로 맞아서 병을 고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바퀴벌레 속에서 나노로봇 군단이 작전 수행영화 트랜센던스의 나노입자는 사실 치유보다 더 황당한 능력 이 있다. 사람 몸속에 들어간 나노입자 하나하나가 무선인터넷으 로 연결돼 그 사람을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모두 새 것이니 자신 있습니다. 특히 앞으로 당뇨병과 대사질환 전문 병원으로 거듭날 겁니다.”“단순히 정보를 쌓아놓은 게 아니에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변수만 모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어요. 철저히 생물학자의 입장에서 만들었다는 얘기지요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연상한 수학자들은 36일이 5월 31일 이후 다섯 번째 날이므로 6월 5일을 아르키메데스의 날이라고 부르자는 제안을 내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파리지가 1599~1600년 사이에 그린 벽화. 아르키메데스가 포물면 거울로 햇빛을 모아 로마의 목조 전함을 태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햇빛을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