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표준을 두고 있지 않다. 물리적 대상을 표준으로 삼은 단위는 kg이 유일하다.그런데 이제 마지막 남은 실물 원기를 폐기하려111는 이유는 무엇일까. 간단히 얘기하면 원기가 만들어진 지 너무 오래되서 오차가 생겼기 때문이다.지금까지 국제 킬로그램 원기가 3중 유리관 밖으로 나온 건 딱 네 차례다. ...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몸체에 거무스름한 뱀의 눈을 갖게된다. 가짜인 뱀의 눈이 통하지 않을 경우 방어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냄새뿔로 적극적 방어를 한다. 거의 10cm 이상인 크기로 눈에 잘 띄면서도 잡혀 먹히지 않고 왕성하게 번성하는 이유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방어 전략을 갖고 있기 때문인지 700여 종 이상의 많은 ...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걸. 우리의 시대는 끝났고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열린다는 걸. 우리의 마지막 모습이 어땠을지 당신이 밝혀 주세요. 2만 4000년 뒤의 호모 사피엔스, 아시아 대륙의 가장 동쪽 끝에 사는 당신의 몸속에도 우리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아주 조금이지만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관련기사를 ... ...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과학동아 l2011년 03호
- 8~10명이 한 조가 된다. 캠프 첫날 모두에게 똑같은 재료와 문제를 나눠주고, 캠프 마지막 날 발표시킨다. 주어진 조건에서 얼마나 협동해서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살펴본다. 인성면접에서는 1단계 서류전형시 제출한 자기소개서, 추천서, 입증자료 등을 바탕으로 면접을 실시한다. 인성에 대해서는 ... ...
- 입자 가속기 삼국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조금씩 더 작은 것으로 바꿔 나가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구슬의 속도는 점점 빨라진다. 마지막엔 구슬이 빛의 속도에 가까울 만큼 빨라질 것이다. [‘방사광가속기’가 설치돼 있는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모습. 중앙의 둥근 ‘원형가속기’를 통해 가속한 전자에너지를 빛으로 바꾸는 시설이다. 이 ... ...
- 독창적인 주제를 꾸준히 탐구하라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합격생이 제출한 포트폴리오 주제들을 살펴보면 ‘뷔퐁의 바늘 문제 확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복권의 기대값 올리기’ 등이었다. 수학, 과학에 대한 열정을 펼쳐라 이처럼 영재성 입증 포트폴리오는 영재고, 과학고 입시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로 그것을 준비하는 과정은 만만치 ... ...
- 차세대 우주왕복선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가진 차세대 우주왕복선 모두가 각자 맡은 역할을 멋지게 해 줄 거라고 믿어요. 저는 마지막 비행을 마치면 박물관으로 옮겨지겠지만, 그 곳에서 후배들의 활약을 지켜볼 거예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차세대 우주왕복선의 멋진 활약을 응원해 주세요 ... ...
- 멸종된 토종여우 만나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지난 2004년 3월 강원 양구군 동면 덕곡리 야산에서 죽은 수컷 여우 한 마리가 발견된 것을 마지막으로 아무도 저를 보지 못했지요. 과학자들은 제가 멸종됐다고 말하더군요.어쩌다가 멸종이 된 건가요?1960년대 쥐잡기 운동 때 쥐약을 먹고 죽은 쥐를 먹어서 많이 죽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제 ...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생길 일이 없어 보이지만 절대 그렇진 않을 것 같다.애니메이션 ‘몬스터 주식회사’의 마지막 장면으로 이런 상상을 한번 해 보자. 몬스터인 설리와 사람인 꼬마 ‘부’가 안타깝게 헤어지는 장면.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지 못하고 돌아서는 설리가 부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남겼다면?부가 글을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지난겨울 영국은 폭설 때문에 학교가 며칠씩이나 휴교했어. 영국 학생들은 여기저기 뿔뿔이 흩어져 살아서 30분씩 스쿨버스를 타고 온단다. 그래서 눈이 많이 온다 싶 ... 수인 셈이지.그런데 이런 수를 왜 행복한 수라고 부르냐고?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마지막은 결국 하나(1)가 되는 수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