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d라이브러리
"
상
"(으)로 총 2,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의 근무시간 세계최고, 능률은 몇째?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추세와도 걸맞지 않는다 하겠다. 문제는 노동시간을 가능한 한 단축시키되, 생산성을 향
상
시키는 적정선을 찾아내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우리 주위의 비능률적이고 불합리한 요소들을 찾아내 시정해야만 할 것 같다. 노동시간은 세계 1위이지만, 능률은 하위에 처져 있다는 자각이 ... ...
과학혁명과 연구소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프랑스의 공업과
상
업을 발전시키는 원동력임을 확신하고 과학의 연구를 그의 정책(중
상
주의)에 편승시켰다. 이로써 영국과 달리 프랑스는 순수한 왕립과학아카데미를 갖게 되었다. 이곳에는 20명의 엘리트 과학자들이 왕실로부터 급료를 받으면서 연구를 진행시키고 있었다. 아마추어적인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자취를 영원히 찾아볼 수 없게 될는지도 모른다. 하구둑 건설을 비롯한 경제개발로
상
실하게 될 철새도래지에 대한 우려는 을숙도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희귀한 새들 때문만은 아니다. 새들이 서식하는 장소는 공해로 오염돼있지 않은 곳이기에 바로 이러한 자연이야말로 우리들에게 영원한 삶의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세포표면이나 세포내 소기관은 수십A의 얇은 막으로 덮여 있는데 1970년 초 그 막이 액정
상
태의 분자층과 비슷한 구조를 가졌음이 알려졌다. 생체막은 친수기(머리)와 소수기(다리 2)로 되어있고 단백질이 작용하는 데 알맞는 장소를 제공한다고 생각된다. 즉 우리의 몸은 액정장(場)으로 구성된 ... ...
신소재의 과학 꿈의 재료를 설계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고분해 X선회절로 분석할 수 있게되어 재료의 강도 전기적 성질 내식성 등에 관해서
상
세한 지식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강력한 실험설비는 분명 재료과학의 발전에 필수적인 요인임에 틀림없지만, 기존재료의 개령 혹은 신재료의 합성이 이루어지는 가장 큰 자극은 역시 '새로운 종류의 성능에 ... ...
기
상
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정책적인 기
상
지원 및 중앙기
상
대를 주축으로 한 대학 연구소 간의 한국형 최적 기
상
정보시스템 연구활동이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예보시스템의 확립은 가까운 장래에 이룩될 것임이 분명하다 ... ...
PART5 전자재료 실리콘 시대가 붕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자기광학디스크에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자계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디스크
상
의 한점에 레이저빛의 펄스를 쪼이는 것이다. 레이저빛은 이 점을 가열시키고 자계가 이곳을 자화한다. 이렇게 되면 헤드 없이도 자기디스크에 비해 어마어마한 양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고 또한 검출할 수 ... ...
PART9 초합금 극한
상
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Ni3Al의 취성(脆性)을 연성(延性)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니켈기 합금, 특히 감마프라임
상
을 다량포함하는 것은 고온에서의 강도가 커서 1천 ℃의 온도에도 견딘다.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에서는 내열 니켈기합금이 공기의 온도·압력이 최고인 콤프레서부(部)의 콤프레서블레이드에 사용된다. 이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전답이 유실되는 수도 있다. 도시에서는 적설량이 30cm에 이르면 자동차교통이 마비
상
태가 된다.간접피해로는 봄에 눈이 녹을 때 일어나는 융설 홍수가 있다. 흐르는 물의 수온이 낮으므로 밭에 침수되면 냉해를 입는다. 또 눈이 지표면에 쌓이면 태양의 복사에너지가 잘 반사되므로 지구표면의 눈이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각종 난치병이 수술에 의하지 않고도 치유가 가능하게 됐다. 또 그 활용영역도 갈수록 임
상
의 각과로 확대되는 추세여서 머지않아 내시경이 거의 모든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될 전망이다.그러나 아직도 안전도면에서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고 부작용도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 의사나 환자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