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난(卵)’은 물고기
알
두 개가 나란히 놓인 모양에서 나온 상형문자예요. 동물이 낳은
알
이나 난자를 의미하지요. 즉, 수정란은 ‘정자를 받아들인 난자’의 의미랍니다.수정란이 세포분열을 하면 ‘배아(胚芽)’가 돼요. 배아는 수정란이 두 개로 갈라진 후부터 뱃속에 있는 아기를 뜻하는 ‘태아 ... ...
[1학급 1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가 30개 교실에 과학동아를 선물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하다 보니 세상에 대한 관심이 적었는데, 다양한 기사를 통해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알
수 있어서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높은 인기 때문에 정작 과학동아를 신청했던 정 군은 책을 손에 잡아들기 힘들었다. 책꽂이에 책이 놓여 있는 시간이 거의 없었을 정도였다.과학고 학생들이 가장 유심히 ... ...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정체를 미리
알
았다는 것도 증명하지 못합니다. 즉, ‘와카바가 마을의 비밀을 모두 다
알
고 있지 않았을까’하는 소녀탐정의 추리 역시 증명되지 못했습니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는 말처럼 와카바가 입을 열지 않는 한 와카바의 비밀은 영원히 미스터리로 남겠죠 ... ...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그 숫자를 기준으로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읽어 내린다. 그러면 규칙을
알
수 없는 수가 연속으로 나온다.난수표는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군대가 처음으로 만들어서 사용했다. 암호로 쓰기 위해서였다. 전달하려는 말을 난수표에 있는 숫자암호로 바꿔 보안을 유지한 것이다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알
을 품은 채로 죽어 화석이 됐습니다. 처음에는 남의
알
을 훔치다 죽은 줄
알
았지만
알
을 품은 자세와 부화가 덜 된 새끼공룡이 오비랍토르임이 밝혀지면서 오해가 풀렸습니다.끊임없이 발견되는 증거가 새의 공룡기원설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고생물학계에서는 거의 정설이 됐지만 새의 조상이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있도록 해줍니다. 계산 과정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 계산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누감
알
고리즘을 이용한 나눗셈에서 구구단의 2단이나 3단처럼 계산하기 쉬운 곱셈을 활용하면 나눗셈을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는 2단을 활용한 나눗셈입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맛있는 수산물을 계속 먹으려면?파란 바다가 보이는 국립수산과학원에 도착하자 박진일 박사님께서 기자단 친구들을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 박사님 ... 파악할 수 있는 수산물 지도도 전시돼 있었지요. 생생한 바다생물을 통해 바다를 깊이
알
고 싶은 친구들은 수산과학관으로 놀러 오세요~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
을 먹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위해서라는 가설도 있다”며 “역설적으로 보이지만 진화 과정에서 얻은 적응 행동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생태와 진화’ 1월 29일자와 ‘행동생태학및사회생물학’ 2월 3일자에 각각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미세한 입자가 들어가면 진동수에 변화가 생긴다. 이 변화를 계산하면 입자의 질량을
알
수 있다.기존 나노입자 분석 장치들은 여러 입자가 모여 있을 때 질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준이었지만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입자 하나의 질량까지도 측정할 수 있다. 최고 젭토그램(10-21g) 단위까지 측정이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다. 이를 통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은하가 만들어지고, 우주가 현재의 모습이 됐는지를
알
수 있다.우주 초기에 생긴 중력파는 진동수가 아주 작아서 그보다 높은 진동수 검출에 특화된 라이고 관측소에서는 측정할 수 없다. 지난 2014년 또 다른 연구팀이 남극에 설치된 ‘바이셉2’라는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