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스틴 저워르스키 영국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및이론물리학과 연구원팀은 올빼미의 날개깃뿐만 아니라 날개 표면을 카펫처럼 덮고 있는 부드러운 솜털 또한 소음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를 2013년 ‘유체역학 저널’에 발표했다. doi:10.1017/jfm.2013.139 특히 이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 길고 유연한 카테터 단 ‘닥터 허준’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료로봇연구단은 필자를 포함해 많은 연구진과 함께 척추 수술용 로봇 닥터 허준 개발에 착수했다. 닥터 허준은 내시경 로봇으로 척추 수술 중 피부를 통한 경막외내시경술(percutaneous epiduroscopy)을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엘리베이터 안에서 지상을 향해 찍은 것이다. 이곳에서 더 내려간 지하 1100m에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이 암흑물질을 찾기 위해 설치 예정인 입자 검출기 공사가 한창이다. 11월 6일 국내 언론 최초로 현장을 찾았다. 이곳은 현재 철광이 운영 중이다. 철광에 가본 것은 처음이었다. ...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느덧 한 해가 저무는 12월입니다. 거리를 걷다보면 멋진 장식이 달린 크리스마스트리도 보이고 구세군 종소리도 들려옵니다. 이번 호에서는 연말 분위기에 잘 어울리는, ‘진공의 힘(under pressure)’을 보여줄 요리를 소개합니다. 주인공은 닭 가슴살 스테이크입니다. 여기에 감자 퓨레, 방울다다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특히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자외선차단제 속 화학 성분을 연구·개발하는 연구원을 꿈꾸고 있다. 다른 하나는 연료전지 분야다. 전 씨는 “최근 전공 설계 수업에서 고분자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배웠다”며 “고분자를 이용한 연료전지나 태양전지를 설계하는 일에 관심이 생겼다”고 ...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조금 더 높은 소리로 ‘챙챙’하고 울기 때문에 소리로 쉽게 구별할 수 있거든요. 연구원들은 이렇게 대원들이 녹음한 소리를 하나하나 들으며 수원청개구리의 소리가 녹음 돼 있는지 분석해요. 이 결과를 토대로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알아내 보전 활동을 한답니다. 한편 제비는 하루에 한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수께끼의 전파, 12년 전 끊긴 인공위성의 신호?!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인 2000년 3월 2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미지(IMAGE)’라는 인공위성을 발사했어요. 이 위성은 5년 동안 지구 주위를 돌면서 지구 자기장이 미치는 자기권과 태양풍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관측하며 수많은 데이터를 보내 왔 ... ...
- 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로 발견한 구름을 국제구름도감에까지 실은 구름 추적자들의 활약, 정말 대단해! 그런데 여기 또 어마어마한 추적자들이 있어. 바로 새로운 오로라 현상을 발견한 오로라 추적자들이야! 보랏빛 띠의 새로운 오로라, ‘스티브’2015년, 캐나다의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들’은 밤하늘에서 보랏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삼성SDS를 거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배양과 다르기 때문에 가장 최적화된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정 책임연구원은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넘어 대량 생산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르면 2021년, 늦어도 2025년에는 시중에서 배양육을 만나볼 수 있을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