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신의 목표를 쟁취할 확률이 굉장히 높다고 했다. P학생은 학교 성적도 전과목 ‘수’를
유지
하고 있다. 중학교 입학 후에 카이스트의 IT영재교육원도 수료했다. 하지만 영재교육원에는 컴퓨터를 잘하는 과학고 학생들이 많아서 1학기에는 할 만했지만 2학기 때는 수준이 높아 듣기 힘든 적도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식 발현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질을 얻는 방법 ⇒ 우수한 품종의 유전자형을 그대로
유지
하면서 새로운 기능성 유전자를 이식하기 때문에 단 시간내 효율적인 육종이 가능 ② 분자 육종법의 예시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에서 개발한 고추(웅성붙임성을 가진) •국내 고추 육종가들은 품종개발에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멈춰 충돌을 피했다고 하더라도 포의 재난은 끝나지 않는다. 물체는 본래 운동 상태를
유지
하려는 ‘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버스가 달리다가 급하게 멈추면, 버스 안에 있던 승객들이 앞으로 고꾸라지는 것도 관성 때문이다. 이 때문에 빠르게 달리던 수레가 갑자기 멈추면 포는 튕겨져 나갈 ... ...
바다를 품은 영재교육의 장,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무기염류가 약 3%나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무기염류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
하려고 한다. 따라서 바닷물을 마시면 몸속 무기염류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물이 더 필요해진다. 세포 안에 있는 물까지 끌어와야 하기에 자칫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는 바닷물에는 ... ...
한국의 대표 이공계 중점대학 GIS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무작정 대학의 규모를 늘리지 않습니다. 교수 대 학생의 비율(1대 10)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교양과목이 한 반에 10~15명 내외, 필수 기초과학과 전공과목은 15~20명 내외의 학생이 수강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학교에서는 교수와 학생이 자유롭게 묻고 답하는 수업이 ... ...
에디슨의 후예들에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 이 코너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및 개발자를 꿈꾸는 중고생 정보영재들에게 IT 전문가가 들려주는 유익한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올 ...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랑을 기억하고 되새기자. 그리고 다시‘의미있는 일, 재미와 열정을
유지
할 수 있는 일,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을 만들어가자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genome)을 세균(원래 게놈은 미리 제거했다)에 다시 넣자 그 세균은 생명활동을 계속
유지
했다. 합성게놈도 똑같이 기능한다는 것을 밝힌 결과다. 언젠가 게놈을 합성할 수 있을 거라고 추측은 했지만 이 정도로 빨리 그날이 올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이렇게 생물의 구성요소를 화학적으로 만든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교수는 “조선시대 경복궁 경회루에 호수를 만든 것은 빗물을 잡아두어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생각에서 비가 내린 지역에 빗물을 잠시 잡아두는 ‘분산식 빗물관리’가 주목받고 있다. 분산식 빗물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잡아두고, 토양에 흡수하거나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않을까? 뇌에 대한 비밀을 밝혀 줘~.지능은 두 가지로 나뉘어.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유지
되거나 높아지는 결정적 지능과 성장과 함께 높아지다가 성장이 멈추면 점차 떨어지는 유동성 지능이지. 그런데 베르니케 영역처럼 언어를 담당하는 기관은 결정적 지능과 관련이 있고 전전두엽이나 ... ...
몸이 차면 뚱뚱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적기 때문이다. 섭취한 에너지 중 남은 에너지는 몸속에 지방으로 쌓인다. 동물은 체온을
유지
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체온이 낮은 경우에는 그만큼 에너지를 덜 써도 된다. 남은 에너지는 지방으로 쌓인다.리피네티 교수는 “개의 체온을 가지고 한 실험이지만 사람에게도 얼마든지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