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센서는 갑자기 변하는 속도를 감지해요.기자단 친구들은 아이팝콘 기기가 잘 넘어지도록 큰 과녁을 붙였어요. 고무줄 총을 쏴 과녁이 뒤로 넘어갈 때 아이팝콘 기기의 가속도 센서는 속도 변화를 감지해 스마트 기기에 정보를 보낸답니다. 아이팝콘 기기가 가만히 있을 때 가속도 값은 ‘1’이에요.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하다”며 “생물다양성의 보고, 광릉숲에서 바이오블리츠를 개최하게 된 것은 매우 큰 의미”라고 말했답니다. 광릉슾에서 만난 다양한 생물들바이오블리츠 참가자들은 조류,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24시간 탐사 한 결과, 모두 1424종의 생물을 찾을 수 있었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교환한 뒤 다시 심장으로 가 전 과정을 반복하지요. 이처럼 심장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심장 재생은 좀비에게 맡겨라!세포 중에도 좀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는 노화하면 제 기능을 잃고 죽어 사라져요. 그 빈자리는 다른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어. 입이 앞으로 툭 튀어나온 것도 특징이지. 우린 민물고기 중에서도 몸집이 꽤 큰 편이야. 몸길이가 약 1.25m이고 체중은 36kg이 넘거든. 초등학생 1~2학년 정도의 몸집이지. 난 화려하게 생긴 물고기는 아니야. 탁한 갈색과 올리브색이 약간 섞여 있어 오히려 수수하다고 할 수 있어. 미국, 캐나다 ... ...
- [Go!Go!고고학자] 알프스에서 발견된 아이스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분석하는 학자들. South Tyrol Museum of Archaeology/EURAC/Samadelli/Staschitz 제공 고고학자들의 가장 큰 의문은 외치가 왜 알프스의 험한 빙하 골짜기에서 발견되었느냐 하는 것이었어요. 한동안은 외치가 발을 헛디뎌 떨어졌다는 설이 유력했어요. 위장에 아직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아니 앞으로의 10년 동안 한국 과학계도 이런 대우를 받았으면 좋겠다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담고 있는 빙하코어 시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구의 기온이 100만 년 전을 기준으로 큰 차이가 있는데, 그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서다. 허 책임연구원은 “현재부터 100만 년 전까지는 기온이 크게 10만 년 주기로 반복됐는데, 그보다 더 과거에는 40만 년 주기로 반복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10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진 신경세포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사지마비 환자의 신경세포를 되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연구는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곳마다 흙이 몽글몽글하게 뭉쳐져 있다. 떼알구조(입자가 알갱이끼리 서로 뭉쳐 하나의 큰 덩어리를 만드는 구조)로 쌓여있는 이것의 정체는 지렁이가 쌓아 올린 ‘똥탑’이다. 지렁이의 종에 따라 다르지만, 똥탑은 작게는 수mm에서 크게는 10cm가 넘는 높이로 쌓인다. 지렁이는 이 똥탑을 어떻게 ...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네오디뮴 니켈산화물이 자성을 띨 때만 유지되기 때문에,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리카르도 코민 MIT 교수는 “양자 물질에서 프랙탈 구조를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연구 의의를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월 15일자에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