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표
의도
취지
표적
대상
동기
비젼
뉴스
"
목적
"(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룸] 세계 과학계에 민폐 끼친 中 ‘디자이너 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는 것이다. 현재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유전병 치료 등 특정
목적
의 기초 연구에 한해서만 인간 배아 교정을 허용한다. 과학자의 결의가 “일단 저지르고 보자”는 연구자의 막무가내식 돌출행동을 막지 못했다는 사실은 우려스럽다. 학자들은 윤리 문제는 둘째 치고 허 ... ...
시험발사체 발사 시간대별 진행 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질의) 성공 여부 알수 있나. (응답) 이번 발사는 액체엔진의 비행성능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
임. 따라서 엔진 연소가 가장 중요. 비행고도, 도달사거리는 엔진 연소만 되면 달성될 것으로 보임. 엔진이 정상 연소돼도 기상상황이나 자세제어 항력 등 파라미터가 들어와 줘야 최종 목표 달성 ... ...
연구 예타조사, 평가항목서 성공 가능성 빠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국가적으로 중요한 연구개발사업이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기획되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목적
의 연구개발사업이 연구개발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갑동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좌장으로 하여 이재영 초록에스티 이사, 정종석 ... ...
한국 우주개발 역사상 심장이 가장 쫄깃해지는 1주일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7
향한 건 2015년 3월 러시아 모스크바 남쪽 1800㎞ 떨어진 야스니발사장에서 발사된 다
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3A호 이후 3년 8개월만이다. 한국에서 대형 로켓 발사가 이뤄진 것은 2013년 1월 30일 오후 4시 나로우주센터에서 쏘아올린 나로호 이후 5년 10개월만이다. 가장 먼저 발사되는 시험발사체는 국산 ... ...
“유전자 교정한 아기 태어났다” 中 과학자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데 성공했다. 어떤 교정이 있었는지에 대해 허 교수는 “유전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목적
이 아니며,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바이러스 감염에 저항성을 갖도록 하는 희귀한 형질을 갖게 했다”고 밝혔다. 허 교수가 26일 중국임상센터(HhCTR)에 올린 문서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한 HIV 면역 유전자 CCR5 ... ...
[표지로 읽는 과학]생명체가 처음 등장한 캄브리아기를 탐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보고했다. 카론 큐레이터는 “이곳에 오면 우주선을 타고 행성을 여행하다 잘못된
목적
지에 도착한 것 같다”며 “지금의 생물과는 다른 기괴한 모습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들이 넘쳐난다”고 말했다. ... ...
[암호기술 혁명]⑥통신·미사일·전력망... 軍보안기술 삼박자 맞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미사일 해킹 위험 낮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에는 미사일이 발사된 뒤
목적
지에 도달하기 전 다급히 미사일에 공격 취소 명령을 전송해 일촉즉발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실제로 최근 미사일 기술은 통신을 이용해 제어한다. DARPA는 이런 미사일 통신이 해킹 당하지 ... ...
[암호기술 혁명]⑤드론 해킹 동형암호로 차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진행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연구팀은 드론 제어 시스템을 암호화한 뒤 드론이
목적
지까지 약 1분간 비행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특히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해킹 시도가 감지될 경우 드론이 출발 지점으로 복귀하도록 설계했는데, 해킹 시도가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해킹 시도를 알아챈 ... ...
한국 연구팀, ‘자원 천국’ 그린란드서 납-아연 묻힌 5곳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독일, 호주, 이란 등 국제 연구진도 다수 참가했다. 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학술적
목적
에서 진행된 것이지만 그린란드 자치정부의 자원 탐사 및 양국 자원 외교에 도움이 될 성과”라면서 “지속적인 과학적 교류를 통해 양국의 자원 외교가 실질적 결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품 ... ...
[미래융합포럼] 융합과학 현 주소…시민과 소통하는 과학의 미래(종합)
2018.11.21
있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백종덕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는 “융합은 결국
목적
에 대해 어떤 방법론을 사용할지 생각하는 능력”이라며 “학부의 역량을 통섭형 창의인재를 양성하는 데 쏟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택 포항공대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도 “자기주도성장 방식의 교육을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