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에 ‘문’ 빌리지… 200명 입주한다
2016.04.15
개척의 베이스캠프가 될 화성기지 건설도 추진할 걸로 보인다. 이미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마션 개봉에 맞춰 ‘화성 서바이벌’을 위해 개발된 우주 기술을 공개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우주기지를 연구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미국 자크(XARC)사와 공동으로 화성 우주기지 개념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재단’을 통해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재단 이사장은 피트 워든 전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에임스연구센터장이 맡고 있다. 호킹은 이날 기자회견을 앞두고 각 언론사에 e메일을 보내 “지구는 멋진 곳이지만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다”며 “이르든 늦든 우리는 별들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이번 ... ...
‘중태’ 케플러 우주망원경, 안정 상태 회복
2016.04.12
이 망원경을 더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2013년 새로운 임무 K2를 부여했다. 지금까지
NASA
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활용해 약 5000개의 외계행성 후보를 찾았다. 현재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구에서 약 1억2070만 ㎞ 떨어진 지점에 있다. 이는 지구~태양 거리에 조금 못 미치는 거리로, 빛의 속도로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년 포르투갈의 항해사 마젤란이 세계 일주 도중 남반구 대양을 항해할 때 발견한 것이다.
NASA
가 공개한 사진은 소마젤란성운의 일부인 NGC 346이다. NGC 346을 잘 보면 파란 빛을 내는 부분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거대한 범선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범선은 1519년 8월 세계 일주를 목표로 스페인 세비야를 ... ...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4.04
꼴로 대형을 만들면 플라스마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NASA
는 2018년에도 솔라 프로브 플러스(Solar Probe Plus)라는 태양 플라스마 관측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이 위성은 지금까지 인류가 시도한 어떤 탐사선보다 태양에 가까이(600만km) 접근해 코로나를 구성하는 ... ...
3D 가상현실(VR)로 원전 해체 현장 체험해보니
2016.04.04
같은 재난, 재해에 대비한 안전설계에 가상실증실험실을 활용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과 독일 에어버스는 우주정거장 등 인공 구조물 건설과 우주 비행 시뮬레이션에 이 시스템을 활용한다. 핀란드 기술연구센터(VTT)는 도시 경관과 도면 검토에 이를 활용하고 있다. 건설연은 위성으로 ... ...
“온난화 지속되면 2100년엔 뉴욕, 홍콩, 상해 바다속에 잠겨”
2016.04.03
해수면이 1m 넘게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연구진은 1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위성 ‘랜드샛 8호’가 촬영한 남극 서쪽 아문제해에 있는 ‘스웨이트 빙하(Thwaites Glaciers)’의 모습을 분석했다. 빙하 끝부분 얼음절벽엔 색이 다른 여러 층으로 이뤄진 빙하의 모습이 관찰됐다. ... ...
따사로운 봄날에 ‘시월의 하늘’을 그린다
2016.04.02
추슬러야 했다. 국가 개조 수준의 대응이 뒤를 이었다. 연구개발 조직인 항공우주국(
NASA
)과 국방부고등연구계획국(DARPA)을 세운 건 당연한 절차였고, 이 정도로도 달에 사람을 보낼 수 있었으니 성공적인 위기 대응이었다. 그런데 그게 다가 아니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교육과정의 대수술에 착수해서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2016.03.31
乙酉年)으로 닭의 해다. 우주에도 닭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2000년 11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보자. 마치 새 한마리가 날개를 접고 고개를 숙인 채 맛있는 모이를 먹고 있는 모양처럼 보인다. 새의 정체는 잘 알 수 없으니 닭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사실 사진의 ... ...
존 홀드런 “科技정책 지속하려면 분명한 성과 보여줘야”
2016.03.31
위한 파리 기후변화 협정은 미국의 적극적인 참여 속에 타결됐다. 올해 미 항공우주국(
NASA
)의 예산은 지난해보다 7.1%나 늘어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연구기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홀드런 실장은 “미국 정부가 과학기술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역대 미국 대통령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