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위쪽에 있는 선이 더 길어 보이는 착시 현상이 일어난다.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빨간 선
덕분
에 사람은 같은 길이의 두 선을 보고 거리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경험에 의해 위쪽에 있는 선을 더 멀리 있는 선이라 생각해 상대적으로 더 길다고 착각하는 것이다.1 전시관 숨어 있는 진짜 그림을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변성과정을 거친 화강편마암이, 경상지역에는 중생대에 끼어든 화강암층이 있다.
덕분
에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석재는 90%가 화강암이다. 석굴 사원을 계획했던 김대성은 다루기 힘든 암석인 화강암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화강암은 크게 세 가지 광물로 구성된다. 반투명한 흰색 광물인 석영, ... ...
재미있는 우주로 가는 문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것을 포기했다.역설적이게도 지금은 그토록 어려워했던 과학을 쉽게 알리는 일을 한다.
덕분
에 고민이 많다. 글을 보는 독자에게 같은 좌절감을 줄 순 없으니까. 그러던중에 기자를 좌절시켰던 우주론에 다시 도전하게 만드는 책을 만났다. ‘별똥별 아줌마’라는 별명을 가진 어린이 과학책 저술가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균도 군의 경우가 그렇다. 이미 중학교 때부터 진로를 고민한
덕분
에 고등학교 1, 2학년 때 구체적인 꿈을 정할 수 있었다. “사실 초등학교 때부터 미술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림대회에 나가서 입상하기도 했고요. 게다가 인문학 책 읽기도 좋아했어요. 특히 역사는 정말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주인공이 소노부이 틈새를 유유히 탈출할 수 있었던 건 바로 초전도전자기추진 잠수함
덕분
이다. 초전도전자기추진선은 프로펠러 대신 자기장과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자유체력’을 추진력으로 이용한다. 선체에 고정시킨 전자석으로 해수에 자기장을 만들고 전류를 흘려보내면 자기장과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물에 의해 침식이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v자 형태의 협곡이 곳곳에 보인다. 이 침식
덕분
에 지층 속에 묻혀 있던 화석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다는 게 터커 팀장의 설명이다. 또한 바람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배드랜드 서쪽에서 생성된 로키산맥은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따뜻한 바람을 막고 건조한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벌어지는 올림픽 경기를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서 볼 수 있는 것도 통신위성의 발전
덕분
에 가능해진 일이다. 이처럼 우주개발을 통해서 얻어진 기술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당장 비용이 많이 들고 실패가 이어지더라도 계속 다시 시도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아무리 강한 파도가 쳐도 휩쓸리지 않아요. 그 비결은 바로 본드처럼 끈끈한 접착 단백질
덕분
이에요. 우리가 분비하는 접착단백질은 사람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어떤 접착제보다도 단단해요. 게다가 물에 젖을수록 점점 더 강력해진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접착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탱크 자체는 레이더 전파는 물론 육안과 적외선에도 보이지 않는다. 또 가벼워진 장갑
덕분
에 승용차만큼 빨리 달릴 수 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빠른 속도로 포위해 올 스텔스 탱크를 따돌리고 탈출할 수 있을 것 같진 않았다. 나는 다시 본부로 무전을 보냈다.“라이트닝 볼트로 공중 지원을 ... ...
[life & tech]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이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식물처럼 보이지만 동물이고, 동물이지만 몸속에 공생하는 ‘갈충조류’란 플랑크톤
덕분
에 광합성을 하는 반전 있는 동물이다. 그런데 열대 지역은 잦은 소나기 때문에 육지에서 바다로 엄청난 양의 흙탕물이나 오염물질이 흘러 들어가기 쉽다. 그럼 갈충조류가 산호에서 모두 빠져나가며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