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개"(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좌표계독일의 수학자 가우스는 1828년에 지구의 수학적 형상인 ‘지오이드’를 처음 소개했다. 지구에서 위치에너지가 같은 점을 연결해서 만든 면 중에서 평균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면이 바로 지오이드다. 지오이드에서 바다는 지구의 평균해수면과 같고, 육지는 평균해수면을 연장한 면과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지형이 있다”고 소개했다(밝게 빛나는 부분). 확대된 부분은 명왕성 적도 부근의 상세 사진이다. 얼음으로 뒤덮인 표면 위에 만들어진 지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높이 3500m의 산이 솟아 있다.➋ 명왕성과 카론명왕성과 위성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소개하며 공부해 볼 것을 권했다. 잰스키는 아버지의 조언에 따라 위스콘신대에서 학사학위를 받자마자 전자, 전기, 통신 기술 분야에 흥미를 느끼고 AT&T의 벨연구소로 들어갔다. 1927년 통신사 AT&T는 미국과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식물은 초기에는 성장에 집중하고(필자는 수업시간에 이를 ‘몸짱프로젝트’라고 소개한다), 꽃을 피우기 좋은 계절이 오면 그제야 생식세포와 생식기관을 준비한다. 어찌 보면 동물보다 더 효율적인 셈이다.이 변화는 보통 세포의 일부가 생식세포로 바뀌면서 이뤄진다. 식물은 어떻게 이런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뉴클레오솜은 물론이고 염색체 전체의 구조가 바뀌기도 한다. 그중 다섯 가지를 엄선해 소개한다. 이것만 알면 당신도 이제 후성유전 언어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또 서울의 계절 음식 17종과 방풍죽, 차수(칼국수), 두부 등 지역별 별미 음식이 상세히 소개돼 있다. 허균은 책에서 ‘최상의 두부는 서울 창의문 밖 사람들이 만든 것으로 두부 맛이 말할 수 없이 연하다’고 적었다. 그는 해산물, 특히 게 요리를 굉장히 좋아했는데 책에서도 ‘삼척에서 잡아 올린 ...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들어진 김기영 감독의 작품 ‘하녀’의 주인공이에요. 이름도 딱히 없고 그냥 하녀라 소개랄 것도 없네요. 어쨌든 내 사연은 별 거 없어요. 어떤 사람은 돈 없는 내연녀의 치정극이라고 말하기도 하던데. 물론 내가 잘했다는 건 아니지만, 시대적인 문제도 분명히 있었어요.내가 살던 60년대는 ... ...
- 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릇에 담아 놓을 때보다 한 숟가락 퍼 올릴 때 더 맛있어 보이기 때문이다(맛집을 소개하는 방송에서 음식을 촬영할 때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또 촬영 중에는 소금이나 버터 같은 재료를 정해진 레시피보다 더 듬뿍 넣는다. 어떤 재료가 쓰이는지 잘 보여주기 위해서란다.그렇다면 셰프가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김 교수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모든 감정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소개했다.“예를 들어 분노는 기분이 나쁘고 각성이 큰 상태, 공포는 기분이 나쁘고 각성은 약한 상태로 설명하는 식입니다. 감정을 좀 더 단순한 체계로 환원시켜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Q.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비밀스러운 시설이 문을 열었다.첫 회에서 질량 단위의 기준을 새로 정하는 프로젝트로 소개한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몰의 새로운 정의를 염두에 두고 시작된 과제이기도 했다. 이경석 연구원은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물리와 화학을 비롯해 재료, 기계 등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이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