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뤄지면 깨끗한 에너지원을 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도 줄일 수 있을 거예요.#‘답을 토요일 오후 2시까지 직접 가지고 와라’토요일 오후 1시 50분, 시원이와 친구들은 기숙사 입구에 서서 비밀과학집단을 기다리기 시작했어요. 옆에 선 피에로가 스마트폰의 시계를 들여다보고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원하는 비율로 길러내기 위해서는 이들의 대항 관계를 훤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가 20°C 이상 올라가면 미생물 A가 대사산물로 a 라는 화학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이 B에게는 치명적이다’는 식의 관계다. 이 관계를 파악해야 모두 공존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물리학자들이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두 물리학이 통합되는 현장에 서게 됐다.키타예프 주기율표에서는 세 종류의 불연속변환에 대해 1차원부터 모든 차원에서 대칭성을 기준으로 물질(최소 단위 행렬)을 분류할 수 있다(74쪽 박스 기사 참고). 시간(T)과 전하(C), 비대칭 반전(S)에 대해서 최소 단위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흔들림과 비슷한 특징, 즉 단조롭고 일정하게 지속되는 리듬, 반복되는 선율, 비(非)예측적 변화가 없는 음악은 인간에게 안정적인 정서반응을 유도한다. 실제로 신생아 행동 실험에서 아기는 엄마의 노래가 들리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며 양수 환경에서 익숙하게 들었던 자장가 소리에 울음을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보내 달라고 요청했는데, 이를 본 트레팔이 마방진을 이루는 비이행성 주사위를 만든 거예요. 루빅스 큐브 + 주사위 = 그라임 큐브마방진 대결에선 이긴 민준 씨가 면제권의 주인공입니다. 서윤 씨, 그렇다고 너무 상심하지 마세요. 저와 루빅스 큐브 맞추기 대결을 벌여 이기면 면제권을 ... ...
- Part 5. 깨끗한 공기를 지키는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어렵답니다.게다가 2차 생성 먼지가 만들어지는 과정 역시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예를 들어 대기 중 어떤 성분이 습도나 암모니아, 오존 성분에 따라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지 정확히 몰라요.실제 대기에서 미세먼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아내기 위해 과학자들은 스‘ 모그 챔버’라는 장비를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7‘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2016.3)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3N03 ... ...
- [Issue] 음식과 약 사이 위험한 ‘케미’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약물을 구성하는 성분과 닮아 세포 수용체에 들러붙어 비슷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천식을 치료하는 기관지 확장제 성분인 테오필린과 매우 닮았다. 그래서 이 약을 먹는 사람이 커피를 마시면 약효가 증강돼 중추신경계가 과도하게 활성화하면서 흥분이나 불안, 심박수 증가 같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배아는 외부에서 세포가 몇 개 더 들어와도 문제없이 개체를 만들어 냅니다. 한 예로 하얀 털을 가진 쥐 한 쌍을 교배해 수정란 A를 얻고, 털이 검은 쥐 한 쌍을 교배해 수정란 B를 준비한 뒤, 두 수정란이 8세포기에 접어들 때 합치는 실험이 있습니다. 수정란의 세포 수가 8개에서 16개로 갑자기 두 배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따라 저항의 크기가 달라지는 물질로 만드는데, 달라진 저항 값으로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저항이 10Ω(옴)일 때 0, 20Ω일 때 1과 같은 식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저항을 더 여러 개로 변화시킬 수 있으면 그만큼 정보를 많이 저장할 수 있다. 장 교수는 저항을 네 단계로 변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