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산호를 복구하기
위
한 노력을 곳곳에서 펼치고 있다. 일차적으로는 산호의 생존을
위
한 최적 환경 조건을 찾고 있다. 지금까지 물고기가 오줌으로 내보내는 인(P)과 아가미로 내보내는 질소(N)가 산호의 생장에 핵심 영양소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미세먼지가 심하면 태양의 복사에너지 유입량이 줄어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수정란에게 충분한 세포 소기관과 단백질, mRNA 등을 제공하기
위
해서죠(과학동아 2017년 11월호 기사 ‘수정란은 엄마가 먹여 살린다?’ 참조). 그러나 난자의 이런 특성은 염색체 수에 이상 현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세포는 ‘세포주기 확인점(cell cycle checkpoint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변화를 소개하며, 몸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라는 조언도 건넨다. 또 뇌 건강을
위
해서 직업이나 개인 프로젝트, 봉사 활동 등 목적의식을 갖는 일이 도움이 된다는 말도 덧붙인다. 준비된 사람만이 행복한 노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값이 1, 2차 실험에서 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 모리타 박사팀은 확증을
위
해 실험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좀처럼 발견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2년 8월, 모리타 박사팀은 마침내 113번 원소를 확증하는 실험결과를 얻어냈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105번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나무를 팔아 생계를 잇는 바람에 산은 녹색이 아닌 흙색을 띄었죠. 내다 팔기
위
해 마약의 재료인 양귀비를 재배하다가 마약에 중독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탐사대가 찾아갔을 때 도이 퉁은 숲으로 가득하고 차와 커피가 유명하며 유기농 채소가 신선한 곳이었습니다. 가까운 매 파 루앙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
위
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피하고 악당과 북극곰을 따돌리며 망망대해를 건너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극심한 추
위
를 막고 마을을 구해냈습니다. 그 길의 끝에는 뭐가 있었냐고요? 아래에 공개합니다. 스포일러가 있으니 게임을 할 사람은 절대 읽지 마세요 ... ...
[DJ CHO의 롤링수톤] 지미 헨드릭스의 ‘퍼플 헤이즈’ 기타의 신과 27클럽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비슷비슷했습니다. 케니 교수는 27세가 다른 연령보다 사망
위
험률이 높다고 결론 짓기
위
해서는 적어도 1.5% 라는 수치가 나왔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27세의 죽음이 특별한 건 아니고 단지 시대를 뒤흔든 유명한 음악가 중에 27세에 세상을 떠난 사람이 우연히 많았다는 것을 말해 주지요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또 있었다. 여자 알파인 스키 활강에서 티나 마제(슬로베니아)와 도미니크 기진(스
위
스)은 나란히 1분45초57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오메가가 소수 셋째 자리를 공개하지 않았다. 스키는 100분의 1초까지만 기록을 확인한다는 규정을 두고 있어서다. 당시 오메가는 “(소수 넷째 자리에 해당하는)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과 동물의 면역계를 피하기
위
해 지속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해진다. 자연적으로는 돌연변이를 거치면서 일부 바이러스의 감염도가 떨어져야 하지만, 바이러스는 점차 강력해지고 있다. 이반 코식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 연구소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 후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
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