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를 든 흙기사! 현해남교수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흙이 숨을 쉬고, 아프기도 한다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현해남 교수님은 우리가 매일 밟고 있는 흙이 마치 살아 있는 생물인 것처럼 말씀하세요. 흙이 건강해야 맛있고 영양이 풍부한 쌀과 각종 야채, 과일을 재배할 수 있다고요. 그래서 교수님은 1999년부터 무려 13년 동안 농민들에게 ... ...
- 귀에서 삐~ 소리가 난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귀에서 ‘삐~’ 또는 ‘웅~’하는 소리가 들린 경험이 있나요? 실제로는 아무 소리가 나지 않는데 말이에요. 초등학생 대다수가 귓속에서 잡음이 들리는 이명을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어요.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이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940명에게 이명을 겪은 적이 있는 ... ...
- 우산 vs 양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어제 백화점에 가서 양산을 하나 사 왔어. 응? 이건 우산이라고? 아냐, 양산이 분명해. 이 아름다운 레이스를 보라고. 정말 우산인가? 으으~,이거 정말 헷갈리는 군! 우산우산은 비를 막기 위해 씁니다. 그렇다면 비가 새거나 스며들지 않아야 하겠죠? 그래서 우산을 만들 때는 물방울이 스며들 수 ...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에이, 선생님~! 이게 뭐예요! 제 얼굴 아니잖아요~.맞는데? 쫙 찢어진 눈에 움푹 들어간 보조개까지…. 승표 너 맞는데 뭘~.에이 아니에요! 선생님은 만화가라면서 그림도 못 그리시네요~.하하하, 이렇게 인물의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그림을 캐리커처라고 한단다. 우리 반 아이들은 서로 그려달라고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맺는데, 경기와 강원 충북지역에서 볼 수 있지. 한라솜다리(6%)는 한라산 정상에 아주 적은 수가 살고 있는 식물이야. 멸종위기 생물 1 구하기프로젝트복원증식으로 멸종위기 생물을 구하라!자자, 다들 다투지는 마. 너희들 의견은 모두 의미 있어. 어떤 생물이고 중요하지 않은 생물 은 없지. 하지만 ... ...
- 모모와 요괴들의 수상한 모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없었어. 그때 오토바이를 탄 모모를 도와 준 게 우리 요괴들이야.모모와 엄마의 안부를 적은 편지를 하늘나라에 있는 아빠에게 보냈어.몰래 다이빙을 연습하려는데 차마 뛰어들지 못했던 아씨에게 잠수를 가르친 것은 이 몸이라오.와~, 정말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009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올해 여름엔 역사상 최소값을 보였다. 올해 9월 초의 해빙 면적은 약 450만km2로 가장 작았던 2007년보다도 작다. 즉 지난 30여년 동안 북극해에서 인도 대륙만한 크기의 얼음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해빙이 가장 줄어든 지역은 척치해와 랍테프해 등 태평양 쪽 북극해였다.올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내 선택을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손 5년에 한 번 돌아오는 최대의 정치 이벤트가 코앞이다. 대통령 선거 결과는 앞으로 5년 동안 우리나라의 앞날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 그런 선택의 권한이 내 손에 있다는 기분은 짜릿하지 않은가.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자. 우리는 그런 중요한 권한을 행사할 만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저소득층에서 더 쉽게 높아진다. 이 말은 반대로 말하면 저소득층은 소득이 줄 경우 적은 금액에도 행복감을 박탈당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뿐만 아니라 새폴스키 교수에 따르면, 소득불균형은 유럽에서 영아 사망률을 예측하고 미국에서는 노인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의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 ...
- “고등학교 화학실험에서 화학자의 길 찾았어요”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뛰어난 과학자인 아버지 때문에 어린 시절 부담감을 느끼신 적은 없으셨나요?”라는 박현우(한성과고 1학년) 학생의 질문에 콘버그 교수는 “아버지는 항상 내 친구였지, 아버지였던 적이 없다(He was not my father, he was my friend)”고 답했다. 방금 전 콘버그 교수의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