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방식이 사뭇 다른 논문이었다.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입증되지도 않은 이 논문이 그 후 100년 동안 세상의 많은 것을 바꾸어 놓으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많지 않았을 것이다.일반상대성이론을 왜 알아야 할까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지 17년이 지난 1932년 11월, 일제 식민지 상태에 놓여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이라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칩을 만들었다. 두께가 10㎛(1㎛·100만 분의 1m)인 PDMS 박막 양면 중 한 쪽에는 폐 세포를, 다른 한쪽에는 모세혈관세포를 배양했다(자세한 작동 원리는 144쪽 참조). 렁 온어 칩은 간단했지만 폐의 핵심원리를 잘 구현하고 있었다. 전누리 서울대 ... ...
- 프랑스 보석 관리인 ‘ 다이아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썰렁홈즈. 두둑한 보상을 기대하며 다이아 몽땅과 마주 앉았는데….“자, 여기 수고비 100만 원입니다. 그런데 마지막에 반지를 잘라서 훼손했기 때문에 그 수리비가 500만 원 나왔어요. 즉, 400만 원을 내셔야 해요. 돈이 없으면 몸으로 갚으셔도 됩니다.”“뭐…, 뭐라구요?!”썰렁홈즈는 배상해 주는 ... ...
- 스티로폼 먹어치우는 밀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딱정벌레목 거저릿과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종의 애벌레를 뜻한다. 연구팀은 밀웜 100마리가 매일 작은 알약 무게에 해당하는 34~39mg의 폴리스티렌(스티로폼)을 먹어치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밀웜의 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스티로폼을 분해해 영양분을 만들고 나머지는 이산화탄소로 ...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와 코넬대의 자료에 따르면, 아몬드 수분은 100% 꿀벌에 의해 일어나며, 사과와 블루베리는 90%, 복숭아는 48%에 이른다. 꿀벌이 사라지면 수많은 과일과 채소, 곡물 생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쳐 생물다양성이 감소한다. 또한 6조 원대에 달하는 꿀벌 관련 사업에도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독소를 공급하는 분비선이 확인된 것이다. 독을 가진 도마뱀의 종류가 2종에서 100 종이상으로 늘어났다. 또 뱀이 도마뱀 시절부터 독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일부 과학자들은 왕도마뱀류와 이구아나류, 그리고 뱀을 묶어서 ‘독을 가진 자들’이란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수학동아 l2015년 11호
- 1000번 까지 잘라서 본다. 만약 여기서 어떤 n의 배수번째 부분합과 0 사이의 차이가 100만보다 큰 경우를 찾았다면 가정에 모순이 돼 문제가 해결된다. 만약 찾을 수 없다면, 수열을 더 길게 자르고 1부터 1000번까지 부분의 엔트로피보다 1000번 이후 부분의 엔트로피가 어떤값 이상 차이나게 작다는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생해 2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죽었고요.중국 북동쪽에 있는 랴오닝 성에는 인구가 100만 명 정도 되는 도시 ‘하이청’이 있어요. 작은 도시지만 이 곳은 지진을 이야기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곳이에요. 1975년 강력한 지진이 일어났지만 미리 예측해 피해를 크게 줄였거든요.하이청에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위해 4년마다 2월에 1일을 추가한다. 일반적으로 연도가 4로 나눠떨어지면 윤년, 이중 100으로 나눠떨어지면 평년이다. 이 중 다시 400으로 나눠떨어지면 윤년이다.여왕이 태어난 날은 1758년 6월 3일이다. 이때부터 1859년 6월 2일까지 101년 동안 총 24번 윤년이 있다. 따라서 101년은 (77×365)+(24×366)으로 ... ...
- 세포들의 사회 들여다보는 융합 연구의 대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연과학부 스티브 그래닉 특훈교수는 매년 10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 받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산하 ‘첨단연성물질연구단’의 단장이다. 올해 4월 말에는 미국 국립과학원(NAS) 회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국립과학원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대부분이 회원으로 활동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