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1,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피하는 훈련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단 뇌 없이 어떻게 운동 학습이
가능
한지는 불분명했다. 연구팀은 뇌 없이 운동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척수를 절단해 뇌에서 다리 쪽으로 운동신호가 전달되지 못하도록 만든 다음 쥐의 ... ...
물과 가스 얼려 방사성 오염수 담수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저분자 가스와 같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재료와 함께 간단한 공정 단계에 의해 작동이
가능
하다”며 “차후 원전 해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수처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케미칼 엔지니어링 저널’, ‘저널 오브 헤저더스 ... ...
뉴욕도 한국도 위험하다...예측할 수 없어 피해 큰 '판 내 지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고 했다. 판 내 지진은 연구가 부족해 평소 대비가 안돼 있을
가능
성이 크다. 큰 규모의 판 내 지진이 일어나면 예상보다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의미다. 2001년 1월 인도 구자라트와 파키스탄 일부 지역에서 규모 6.9~7.9의 판 내 지진이 발생해 2만5000명이 숨졌다. 건물 ... ...
잘때 수집한 생체 데이터가 스트레스 '바로미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생체 데이터와 스트레스 수치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면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라 블룸필드 미국 버몬트대 수학·통계학과 교수 연구팀은 수면 데이터와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스트레스’의 상관성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1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 ...
"노벨상은 하루아침에 안나와…장기간 안정적인 지원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걸쳐 진행되는 게 중요하다. 정치인 입장에서는 빠른 결과물이 중요해 보이지만 그게
가능
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이어 "(펀딩의) 양이 많아야한다 또는 적어야한다보다는 안정적이냐는 게 중요하다"며 "막스플랑크의 노벨상은 수십 년에 걸친 연구로 수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루아침에 ... ...
'의대 증원 백지화' 힘 실릴까…'역풍' 우려 목소리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의료계 등과의 타협
가능
성을 시사했다. 정부는 의료개혁을 더욱 강력하게 밀어붙일
가능
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대 증원은 거대 양당과 환자단체 등이 찬성하는 정책이기 때문이다. 내달이면 임 의협 차기 회장의 임기가 시작되면서 대정부 강경 대응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 전공의들의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며 "이 유전자 변이의 효과를 모방하는 새로운 유형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법 개발
가능
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지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혈액-뇌 장벽 내 피브로넥틴 수치에는 APOE-e4 유전자와 상관 없이 큰 차이가 있다"며 "피브로넥틴을 감소시키는 약물은 ... ...
암호화폐 기반 이론 만든 이스라엘 수학자 '튜링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위그더슨 교수는 계산 복잡도 이론을 이용해 모든 수학적 증명은 영지식 증명이
가능
하도록 바뀔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이용해 깨지지 않는 암호 체계가 있을 때 특정 복잡도를 가진 문제로 그 문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지식 증명이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담즙산의 이러한 작용은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 데 응용될
가능
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메커니즘은 약물 개발 과정에서 부작용의 위험성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약물이 미각의 수용체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부작용을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
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연구를 이끈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
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혈관뇌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전달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