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경
황태
말린 명태
명태
동태
북어
노가리
뉴스
"
생태
"(으)로 총 3,25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소리로 짝을 찾고, 소리 때문에 죽는다. 땅강아지!
2018.10.05
※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
생태
보존연구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 ...
"창업하고 싶다면 누구나 오세요"…지원대상 울타리 없앤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통해 예비 창업자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건강한 창업
생태
계를 조성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멘토를 맡을 전문가로는 안성태 KAIST 교수(K-School) 등 7명이 나선다. 안 교수는 스탠퍼드대 재료공학 박사 출신으로 2000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 ...
저당 잡히고 도둑 맞고…노벨상 메달이 사라진 '아찔한'순간들
과학동아
l
2018.10.03
억만장자 알리셰르 우스마노프는 왓슨에게 메달을 돌려줬다. 2008년 프랑스 생나제르
생태
박물관은 경매를 통해 아리스티드 브리앙의 노벨 평화상 메달 싸게 매입했다. 하지만 2015년 이 메달은 도난을 당했고 이후 아직까지 찾지 못하고 있다. 2017년 인도의 인권운동가 카일리시 사티아르티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은여우(aggressive)와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conventional) 사이의 거리보다 더 멀다. - 네이처
생태
학 및 진화’ 제공 예를 들어 CACAN1C 유전자의 경우 SNP1(937번째 아미노산이 아이소류신에서 트레오닌으로 바뀜)은 길들인 은여우에서만 발견되는데 반해 SNP2(1875번째 아미노산이 트레오닌에서 아이소류신으로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이원영 박사. -사진제공 윤신영 이 선임연구원은 까치를 연구하면서 익혔던 다양한 행동
생태
연구기법을 동원해 펭귄을 연구한다. 펭귄에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달아 행동반경을 측정하기도 하고, 머리 뒤에 카메라를 설치해 크릴 등 먹이를 먹는 모습을 관찰하기도 한다. 동물에게 직접 ... ...
IPCC 송도 총회 '1.5도 보고서' 채택 여부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농도를 계산한다. 이를 이용하면 이산화탄소의 분포에 따른 산림과 해양, 대기
생태
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남아메리카 인근 태평양에서 해수 온도가 높아지는 '엘니뇨' 현상이 발생할 경우, 초기에는 열대 태평양 지역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했다가 후반기에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침몰하는 뱃머리와 아파트값
2018.09.30
‘뒤에서 미니까 어쩔 수 없이 빠진다’는 것입니다. 나그네쥐는 무리를 지어서 적당한
생태
적 적소를 찾아다닙니다. 먹이가 떨어지면 새로운 곳으로 한꺼번에 이동합니다. 그런데 절벽 앞에 다다르면 맨 앞의 쥐는 돌아가고 싶겠지만, 뒤따르는 쥐는 절벽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므로 직진을 ... ...
[과학게시판]SF2018 미래과학축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에너지전환 컨퍼런스' 행사를 10월 4일부터 이틀간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미래에너지
생태
계와 에너지 신기술의 역할이란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에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지와 공동으로 진행하며 네이쳐 리서치 편집장 니키 존 딘이 좌장을 맡는다. 문의 02-2191-1450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 ...
자외선 과다노출 걱정 덜어주는 센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큰 UVC는 파장이 100~280㎚며 오존층에서 완전히 흡수되지만 최근 오존층이 파괴되면서
생태
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과학자들은 자외선 종류별 노출량을 따로 재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연구진은 자외선처럼 높은 에너지의 빛을 받았을 때 산화·환원 촉매활성도가 높은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붉은 단풍은 특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6
제공 개화에 비해 단풍은 데이터가 많지 않다.개화는 곤충들의 짝짓기 시기 등
생태
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만 단풍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정확한 예측 모델이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다. ... ...
이전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