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078건 검색되었습니다.
"혈뇌장벽 잠시 열고 치매약 투여하면 효과 크다"
연합뉴스
l
2024.01.08
연합뉴스 제공 뇌혈관의 '검문소'인 혈뇌장벽(BBB)을 집속 초음파로 잠시 열고 치매 치료제를 투여하면 효과가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혈뇌장벽은 뇌 ... 미국의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최신호에
발표
됐다. ...
로레알도 AI로 화장품 혁신…AI가 집어삼킨 2024 CES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이번 기조연설에서 AI 기술을 기반으로 맞춤형 화장품 시대를 선사할 것이란 내용을
발표
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체인 월마트가 기조연설에 나선다는 점도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 소매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C 바코드’를 보급한 월마트는 위성 통신망 구축에도 많은 투자를 해왔다. ... ...
한국인 교육 성취도 높은 유전적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통해 교육 성취 관련 유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네이처 인간행동’ 최근호에 논문을
발표
했다고 8일 밝혔다. 교육적 성취는 평생 받은 교육 정도를 의미한다. 보통 최종 학력으로 측정하며 환경과 유전 요소가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육적 성취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 ...
우주 구성 거미줄 구조 '암흑물질' 필라멘트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우주 구조의 실제 단서를 처음으로 측정해 국제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지난 5일
발표
했다고 8 밝혔다. 천체물리학 이론에 따르면 우주 전체는 암흑 물질로 이뤄진 거미줄 구조로 복잡하게 얽혀있다. 암흑물질은 암흑에너지와 함께 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물질이나 빛을 ... ...
난치 유전질환 유전자가위 치료 시대 열렸는데...국내선 임상 시도도 못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교정하는 데 성공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 의학엔지니어링'에
발표
했다. '4세대 유전자가위 기술'로 분류되는 프라임 교정 기술은 '카스거비'에 사용된 유전자가위 기술인 '크리스퍼 카스9'보다 정확성과 안전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 임상시험에 착수도 못하는 혁신 기술 ... ...
공황장애 유발 핵심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증상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그동안 공황장애는 공포를 처리하는 뇌 영역인 ‘편도체’와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편도체 손상이 발생한 환자도 공황장애를 경험한다는 점에서 외측 팔곁핵에 ... ...
"보청기 사용 꺼리지 마세요"...조기 사망 예방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연구팀은 보청기가 장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3일 국제학술지 '랜싯'에
발표
했다. 연구팀에 의하면 미국 성인 약 4000만 명이 청력 손실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10명 중 1명만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청력 손실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고립, 우울증, 치매 등이 ... ...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극단적 선택 충동 유발? "연관성 적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계열 약물이 췌장염, 장폐색 등 심각한 위장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던 마야르 에트미난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약리학과 박사는 '사이언스'에 "위장병 등 추적이 쉬운 합병증과 달리 약물의 정신적 영향은 환자 판단에 의해 보고되지 않을 수 있어 실제 영향이 간과되기 ... ...
빅뱅 5억 년 후 초기 은하는 '바나나' 모양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사전게재사이트 '아카이브'에 논문을 공개했다. 국제 학술지 '천문학 저널'을 통해 공식
발표
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초기 은하의 형태가 현대 우주에서 발견된 은하과 비슷하게 타원형이나 원반형일 것이라는 추측이 우세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추론을 뒤집고 초기 은하의 모습이 바나나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그라실리스가 어떻게 이 세 가지 형질을 갖게 됐는지 분석한 연구를 4일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네펜데스 그라실리스 서식지에서 4000km 떨어진 곳에서 비슷한 곤충 포획 메커니즘을 가진 '네펜데스 페르빌리'라는 벌레잡이식물을 발견했다. 두 종을 비교해본 결과 서로 다른 구조적,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