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뉴스
"
연구소
"(으)로 총 9,6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2 필즈상]제임스 메이나드 "소수는 모든 수의 원자이다"
수학동아
l
2022.07.05
연구 펠로우십 △2017년 버클리 수리과학
연구소
연구위원 △2017년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회원 △2018년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2019년 듀핀-쉐퍼 추측 해결 △2020년 콜 상 정수론 부문 ... ...
[2022 필즈상]사상 두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우크라이나에 희망 되길”
수학동아
l
2022.07.05
8차원 케플러 문제를 해결했다. 그가 인터넷에 공개한 논문을 본 헨리 콘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
연구원은 24차원 문제도 같은 방식으로 풀 수 있을 것 같으니 함께 연구하자고 제안했고, 5명의 수학자가 이메일로 소통한 결과 불과 일주일 만에 24차원 케플러 추측도 해결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
2022.07.05
년부터 2018년까지는 국제수학연맹 집행위원을 지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가수리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아주대 총장을 지냈다. ... ...
[2022 필즈상] 필즈상은 어떤 상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7.05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자 4명의 모습. 왼쪽부터 악샤이 벤카티쉬 미국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교수, 페터 숄체 독일 본대학교 교수, 알레시오 피갈리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교수, 코체르 비르카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 ... ...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연합뉴스
l
2022.07.0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적색)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NIAID) 제공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증식하려면 계속 에너지를 구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을 일으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의 지방 ... ...
음식물과 농장 쓰레기가 항공업계 탄소감축 근심 해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감축의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답을 찾고 있는 데렉 바던 미국 국립재생에너지
연구소
선임연구원팀을 소개했다. ○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제트유 수분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에서는 고약한 냄새가 많이 난다.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노란 액체인 ‘휘발성 지방산(VFA)’이 ... ...
[표지로 읽는 과학]2022년 1월 통가 화산 폭발이 과학에 남긴 숙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7.03
현상도 포착했다. 연구팀은 지구 초저주파와 전리층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 방재과학
연구소
연구팀은 퉁가 화산 쓰나미가 기존 쓰나미보다 예상보다 훨씬 일찍 도착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번 화산 폭발에 따른 첫 쓰나미는 예상보다 2시간 일찍 도착했고 범위도 훨씬 광범위했다. ... ...
스카이코비원 개발이 남긴 과제
동아사이언스
l
2022.07.02
점도 아쉬운 부분으로 꼽힌다. 스카이코비원 개발에는 미국 워싱턴대 약대 항원디자인
연구소
(IPD)의 항원기술인 ‘나노 입자’가 사용됐다. 나노 입자는 백신에 담긴 항체를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다국적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면역증강제 ‘AD03’도 사용됐다. 면역증강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염색체는 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7.02
풀어낼 수 있는 포괄적인 체계는 없었다. 플로리안 마코비츠 영국 케임브리지암
연구소
교수와 제프 매신티어 스페인국립암연구센터 교수 연구진은 종양이 약물에 반응하는 방식을 예측하고 향후 치료 타깃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9일자(현지시간 ... ...
[프리미엄리포트]호기심의 끝은 파멸
과학동아
l
2022.07.02
겪었다”고 말했다. 중독의 문제는 청소년에게 더욱 치명적이다. 미국 국립약물남용
연구소
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젊은 성인에 비해 마약 및 처방약을 처음 접했을 때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성인과 비교해 청소년의 뇌가 마약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개인이 ... ...
이전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