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7,7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수학동아 l201103
- 보자. 몬스터인 설리와 사람인 꼬마 ‘부’가 안타깝게 헤어지는 장면.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지 못하고 돌아서는 설리가 부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남겼다면?부가 글을 읽을 줄 알 만큼 자라도 ‘1010년’이라는 시간에 그만 절망하고 말 것이다. 이건 뭐, 만나지 말자는 말이랑 같지 않나? 하지만 ... ...
-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수학동아 l201103
- 두 수에 대해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면 두 수가 커질수록 그 값은 황금비(약 1.618)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피보나치 나선을 ‘황금나선’이라 부르기도 한다.피보나치 직사각형과 직육면체피보나치 직사각형피보나치 정사각형 여러 개를 연결하면 피보나치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03
- 나를 나에게 이식하는 ‘줄기세포치료’영화 ‘해리포터’에는 폴리주스라는 마법의 영약이 나온다. 이것을 마시기만 하면 나와 같은 사람을 몇 명이고 복제해 낼 수가 있다. 만일 이 폴리주스로 아픈 환자의 유전자와 똑같은 신체 조직을 복제할 수만 있다면, 백혈병과 같은 난치병을 치료하는 ...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수학동아 l201103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페르마가 남긴 정리다. 17세기부터 약 350년간 증명하지 못한 이 정리는 1994년 영국 출신의 미국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에 의해 증명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에도 우먼파워, 여성수학자가 뜬다.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 ...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103
- 됐다는 추측이 있었어요. 하지만 식물을 조리해 먹었다는 이번 결과 때문에 이 추측도 약간 의문에 휩싸이게 됐답니다.그럼 우리가 점점 줄어든 까닭은 무엇일까요. 5만 년 전까지 유럽 전역과 멀리 시베리아 남부에까지 퍼져서 잘 살던 우리는 3만 년 전부터 급격히 줄기 시작해 2만 6000년쯤에는 거의 ...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과학동아 l201103
- 20g, 근육을 키우려고 운동하는 사람들이 많이 먹는 닭가슴살은 구웠을 때 기준으로 100g당 약 35g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실제 고기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다.질로 따져도 콩의 단백질은 고기의 단백질에 그리 뒤지지 않는다. 필수 아미노산의 양을 측정해 점수를 매기는 ‘단백가’ 수치로 ... ...
- 독창적인 주제를 꾸준히 탐구하라과학동아 l201103
- 800명이 탈락했다. 대구과학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인 거경전형에서는 지원자 1550명 가운데 약 90명만 2단계 면접평가에 응시할 수 있었다. 서울과학고의 경우 지원자 대다수에게 2단계 전형(영재성 및 사고력 평가) 응시 기회를 줬다. 대신 지원자들이 제출한 서류 평가는 4단계 전형(과학캠프)에서 ...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103
- 친척.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종이 갈렸다고 추정하고 있다. 약 50만 년 전 유럽에서 진화했으며, 동굴에서 살고 사냥을 하는 등 비교적 정교한 구석기 문명을 이뤘다. 2만 4000년 전 스페인 해안에서 멸종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03
- 현생인류는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통과한 뒤 남쪽해안선을 따라 계속 동쪽으로 나아가 약 3만~1만 2000년 사이에 황해(당시는 육지였다)를 건너 한반도와 일본까지 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의 한국인이 이시기에 건너온 현생인류의 후손이라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을것이다.물론 ... ...
- 지질자원연, 국제 CO2 저장 프로젝트 참여과학동아 l201103
- 오트웨이 프로젝트의 운영을 맡고 있는 호주의 ‘CO2CRC’ 와 국제공동연구에 관한 협약서를 교환하고 2015년까지 이산화탄소 지중저장기술의 실용화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CO2CRC는 100명 이상의 연구원이 CO2 포집 및 저장분야 기술을 7개국 33개 기관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 CO2 지중저장은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