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6,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09
마음만 먹으면 개인도 충분히 위력적인 무기를 만들 수 있다. 목표까지 스스로 날아가는
작은
무인항공기에 폭탄만 달아도 멀리서 안전하게 공격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은 부대끼리 맞붙는 정규전보다는 테러 분야에서 더욱 유용하다. 로봇은 대테러 전투에도 새로운 국면을 가져올 전망이다. 로봇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09
구멍 속에 앉는다)으로 이동했다.하루에 10시간 정도 노를 저어 갈 수 있는 거리는 30~40km.
작은
마을조차 없어서 늘 나무그늘 아래에 텐트를 치고, 음식을 구하지 못해 수박으로 한 달을 견뎌야 할 만큼 탐험은 가혹했다. 그렇지만 자연 속의 야생동물을 만났을 때의 감동은 피곤함을 잠시 잊게 했다.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광화문에 쓰인 돌은 인왕산 등지에서 캔 화강석이다. 아래쪽 선단석의 무게는 하나에 10t.
작은
것들도 보통 1t이 넘는다. 이러다보니 전통방식으로 석조 건축물을 지을 때는 특징이 있다. 석재끼리 맞닿아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좌우로 3mm 정도의 간격을 띄운다. 위아래로 쌓을 때는 충격 완화를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09
손톱처럼 섬유성 단백질인 케라틴으로 돼 있다. 손으로 끊을 수 있는 머리카락이나
작은
힘으로도 부러뜨릴 수 있는 손톱과 달리 코뿔소의 뿔이 강한 이유는 무엇일까. 코뿔을 이루는 케라틴의 구조가 특별하기 때문이다.저자는 가장 효율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을 동물에게 배우라고 말한다. 인류는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09
물론 전공자에게도 다소 생소한 분야였다. 학부 때 반도체 관련 수업을 듣고, 손톱보다
작은
첨단 반도체의 신비에 푹 빠졌다. 이를 전공해보고 싶은 마음에 대학원 진학을 결심했다. 서울대 내 반도체 관련 연구실들을 찾아다녔다. 그러던 중 윤의준 교수가 지도하는 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 ...
성냥개비로 도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09
20개 있습니다. 이것을 7개와 13개로 나눠서 2개의 도형을 만들되 면적이 큰 도형이
작은
도형의 3배가 되도록 만들어 보세요(힌트 : 만들어지는 도형은 사각형이 아닙니다. 성냥개비 7개로 만들 수 있는 모양이 어떤 것이 있을지 잘 생각해보세요). 정답을 아시는 분은 ljr@donga.com으로 9월 15일까지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09
74μm 정도의 미세한 틈이 있다. 1.6μm는 1mm당 약 600개의 라인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매우
작은
크기다.CD나 DVD에 빛을 비추면 아름다운 무지개를 볼 수 있다. CD나 DVD의 미세한 틈을 빛이 통과하면서 만들어진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CD나 DVD로 간단한 분광기를 만들어 다양한 광원의 파장을 관찰할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가득 차 있어서 아이스크림처럼 부드러운 느낌도 나는 거야.궁금증만 가지고 있다면
작은
곳에서도 과학 원리를 찾을 수 있군요!그럼~! 솜사탕뿐만이 아니라구. 구석구석 잘 살펴봐! ❶ 최근에 등장한 나무로 만든 롤러코스터. 그냥 나무가 아니라 나무를 9겹으로 꾹꾹 눌러서 만든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가장 긴 중간 발가락의 길이를 바탕으로 분석해 본 결과, 약 시속 15~20㎞로 총총 뛰던
작은
수각류가 나중에는 시속 40㎞까지 속도를 내며 뛰었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더 신기한 것은 그 뒤로 다시 한 걸음의 거리가 일정해졌다는 거예요. 시속 40㎞ 정도를 유지하며 계속 달렸다는 거죠"김보성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응용한 거예요. 실제로 우리 눈은 먼 물체를 작고 흐리게 볼 수밖에 없어요. 공기 속에는
작은
먼지 입자가 있는데, 물체가 멀수록 그만큼 빛이 먼지에 많이 부딪혀 산란을 일으키거든요(왼쪽 그림).물체를 촘촘하게 겹치거나, 겹치는 물체의 크기를 변화시켜도 눈은 원근감을 느껴요. 발코니에서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