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
star
태양
해
d라이브러리
"
별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토성은 약 30년에 한번 하늘을 한바퀴 돈다. 그렇기 때문에 1년에 매우 작은 거리만큼
별
들 사이를 하늘에서 움직인다.이제 목성과 토성의 움직임을 하늘에서 그려보면, 목성이 토성보다 훨씬 더 빨리 움직이기 때문에 목성이 토성을 따라잡았다가 추월하는 경우가 생긴다. 지난해부터 올해에 걸쳐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보자. 10여년 전부터 많은 연구자들이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아직까지는
별
다른 진전이 없다. DNA를 추출하고 반응시약을 넣고 DNA를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작업을 하려면 현미경 수준에서 액체를 운반하고 섞어주고 나눠주는 장치가 먼저 개발돼야 하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수바루는 좀생이
별
, 즉 플레이아데스성단이다. 또 사카마스는 삼수의 아랫부분을 이루는
별
들이 네모난 술됫박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수바루 노인은 술에 취했기 때문에 뿌옇게 보이는 것이 란다. 또한 삼수가 묘수(좀생이)를 따라잡는 일도 하늘에서 실제로 일어난다. 즉 동쪽에서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산하에 11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소천체 명명위원회(SBNC)에 상정, 최종 결정된다. 이때 특
별
한 경우가 아니라면 적어도 두달 뒤에는 명명 여부가 확정된다. 그러나 제안된 이름 자체, 또는 명명 이유에 대해서 위원회가 수긍하지 못할 경우 더 길어질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설사 ‘제안됐을 ... ...
구장산술 주비산경 완역한, 사회학자 차종천교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못했다.”또한 차교수는 우리가 과학이나 수학에서 동양의 것이 서양지식에 비해
별
볼일 없다고 생각했던 선입견 때문에 전통지식을 가르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제대로 된 수학교육을 위해 개화기 이후 근대화·서구화가 진행되면서 가장 홀대당하고 무시돼 온 전통문화유산 중 하나인 산학에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양자 중첩 상태를 만들어내고 그것에 연산을 작용한다는 점에서 고전적 게이트와 구
별
된다.그러나 이론적으로 아는 것과 실제 구현하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네트워크에서 양자 게이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곧 심각한 현실적 문제에 봉착한다. 우선 단일 원자와 단일 광자를 과연 조종할 수 ... ...
하늘이 내린 영웅의 상징 삼태성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제갈공명은 촉나라 군대의 사령관이었을 뿐만 아니라, 촉나라의 정승이기도 했으므로 이
별
점은 중대하게 받아들여졌던 것이다.오늘밤 날씨는 좀 차가울지 몰라도 깨끗한 겨울하늘에서 북두칠성과 삼태성을 찾아보자. 아울러 그에 얽힌 옛날얘기도 떠올려보자. 아는 만큼 보인다고, 밤하늘을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아름다움 뽐내는 비너스1월 초저녁 하늘에는 일몰때 서쪽에서 유난히 밝게 빛나는 ‘
별
’이 보인다. 사실 이것은 미의 여신 금성이다. 17일에는 지구에서 볼 때 금성이 해에서 동쪽으로 가장 멀어지는 날이다. 그래서 해가 진 직후 금성의 고도는 약 40°나 될 만큼 높아서 밤 9시 반경에야 지평선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A다. 해가 뜨는 곳이 매일 조금씩 변하기는 하지만 하루 만에는
별
로 표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우리는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그림에서 오른쪽이 남쪽이 된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C다.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밝혀진지 얼마 안된 1802년 3월에 자격을 의심받게 됐다. 독일의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별
처럼 생긴 움직이는 천체를 또하나 발견했던 것이다. 이 천체는 다름아닌 소행성 팔레스였다. 학자들에게는 큰 충격이었지만 세레스는 최초의 소행성이라는 자격을 획득하는 순간이었다. 두개의 소행성이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