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력
템포
스피드
박자
리듬
빠르기
진전속도
d라이브러리
"
속도
"(으)로 총 7,18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해저면쪽
속도
가 느려진다. 결국 뾰족해진 마루가 무너지며 해안가를 덮친다. 초기
속도
보다야 느려지지만 시속 700km가 넘는 물이 밀려들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쓰나미 주의보는 근처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일단 발령한다. 쓰나미가 오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단초가 됐다. 20세기에 접어들 무렵 물리학자들은 빛이 어떤 관성 좌표계에서도 일정한
속도
로 달린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로부터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을 창안했고, 시공간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통째로 바꿔놓았다. 상대성이론은 E=mc2을 통해 물질과 에너지의 경계도 허물었다. 원자폭탄과 ... ...
[Life & Tech] 한여름에 더운 바람이 솔솔~ 제습기의 불편한 진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제습기 제조사들은 열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LG전자 홍보팀에 따르면, 모터
속도
를 조절하는 ‘인버터 기술’로 낭비되는 전력을 줄여 공기 출구 온도를 낮췄다. 제습기에서 발생한 열로 다시 전기를 만들어 제습기에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제습기의 소비전력이 적다는 ... ...
구름 형성 원인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여기에 황산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관찰을 통해 알고 있었다. 하지만 씨앗이 형성되는
속도
를 설명하기엔 황산 농도가 너무 낮아 미완의 이론이라는 평가가 많았다.연구팀은 오염물이 없는 실험관 안에 대기 조건을 재현했다. 그 뒤 여기에 이산화황과 알파피넨(소나무에서 나오는 유기물)의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질문했다. 변 교수는 “운석이 지구 중력 영향 때문에 휜 궤도를 보정하고 지구와 부딪친
속도
와 각도를 구하면 태양계 어디에서 왔는지 알 수 있다”고 답했다. 또 다른 독자가 “인류를 멸망시킬 만한 큰 소행성이 지구에 다가오면 어떻게 하나”고 묻자, 변 교수는 “이미 대응 체계가 마련되고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는 새로운 뉴런이 지속적으로 재생되며, 특히 출생 후 몇 년 동안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
로 만들어진다. 성인의 수백~수천 배에 달할 정도다. 인간과 비교적 가까운 원숭이는 출생 시 만들어진 해마의 40%가 출생 후 재생된 뉴런으로 대치된다.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뉴런은 기존 뉴런보다 새로운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어붙인 홈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공기흐름이 변한다. 변화가 심한 공일수록 날아가는
속도
와 방향이 불안정하다. 브라주카는 방향에 따른 공기흐름 변화가 매우 적은 편이다.A와 B는 같은 공이 패널 방향만 다르게 날아가는 경우다. B는 A보다 공 뒤에서 일어나는 역류(위 그림에서 흰 연기, 아래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존재하기 어려운 곳 에서는 액체 메탄이 대신할 수 있다. 온도가 낮아 화학 반응의 진행
속도
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좋은 조건은 아 니지만 앞서 이야기했듯 우주의 생명은 얼마든지 다양 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액체 메탄을 사용하는 생명체 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다.INSIDE | 목성과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재구성해서 보여줄 것이 다. 경기장 지붕에 설치된 초고속카메라 14대가 초당 500프레임의
속도
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을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일반 카메라의 약 20배
속도
). 카메라에 서 생산되는 데이터만 초당 2기가바이트에 이른다. 데 이터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경기장에 설치된 컴퓨터 1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우리는 드론으로 피자를 받아 먹을 수 있을까. 심현철 KAIST 교수는 “지금의 기술 발전
속도
를 본다면 길어도 10여 년 이내에 현실에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